창원시 마산회원구의 복합행정타운 조성사업이 정처 없이 표류하고 있다. 최근까지 계속 추진하겠다고 견해를 밝혔던 창원시도 갑갑한지 일대에 연구소와 기업 기숙사 유치 등 사업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참으로 무책임한 정치논리에 희생되고 있는 주먹구구 행정의 표본이 아닐 수 없다.
이름이 몹시 그럴듯한 자족형 복합행정타운 계획은 몇 년 전 묘한 정치적 이해관계의 소산으로 태어났다. 지난 지방선거 직전 김태호 전 지사는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지정을 서부경남지역에 하면서 중부경남의 표몰이를 위해 아무런 근거도 없는 준혁신도시를 옛 마산시에 유치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었다. 결국, 유령 같은 준혁신도시가 무산되자 개발론자들이 급작스럽게 보완책으로 들고 나온 것이 법조 복합행정타운의 밑그림이 된 것이다.
당장 법조타운이 들어서기로 되어 있는 마산교도소 이전문제가 난관에 부딪쳐 부지 확보를 하는 일만 해도 한참 늑장을 부리게 생겼다.
옮겨오기로 한 행정기관들도 시간을 끌면서 서로 눈치 보기나 할 뿐 관심을 멀리하고 있다. 시행사인 경남개발공사도 재정난 때문에 선뜻 달려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창원시도 도심재생 프로젝트나 워터프런트 사업에는 적극적이지만 이 문제는 뒤치다꺼리라 생각하는지 뒤뚱거리기만 하고 있다.
복합행정타운 조성과 관련하여 온갖 방안은 난무해도 실제로 구체화한 일은 아무것도 없는 현실이 지역 주민들에게는 더 큰 상처로 남아있다. 예술고나 국제고 같은 특목고를 설립하겠다는 이야기도 있고, '한국 민주주의 전당'을 유치하겠다는 소리도 있었다.
그런가하면 마산합포구 월포동에 중앙정부 종합청사가 들어서게 되면 창원세관이 이주할지도 모른다는 설도 거론되었었다. 매번 타당성 용역조사도 실컷 했건만 제대로 된 답안은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다.
애초에 첫 단추를 잘못 끼운 것은 둘째 치더라도 이렇게 우왕좌왕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밑그림 자체가 부실하니 발상의 전환을 하여 새 계획을 세우고 토대부터 튼튼히 다질 필요가 있다.
몇 년을 끌었으니 중도에 사업을 멈추면 민원이 봇물 터지듯 할 것이요,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 문제는 당시에 복합행정타운 조성을 나서서 주장한 정치인들이 책임지는 자세로 임해 해결해야 한다. 이런 판국에 침묵만 지키고 있어서야 하겠는가.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