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민버스 노조원 "퇴직금·체임 50% 지급 약속"
옛 시민버스 노동조합 조합원들이 부도난 시민버스를 대체할 창원지역 시내버스 신규사업자로 퇴직금·체불임금 50%를 주기로 한 업체가 선정되길 원한다고 밝혔다.
옛 시민버스 노조 조합원 118명 중 90명은 4일 오후 창원시청에서 회견을 열고 "신규모집공고 계획서를 공정하게 심사해 ㈜태영서비스의 계획서에 문제가 없다면 안정된 고용과 위로금 50%를 제시한 이 업체가 꼭 선정돼 길거리로 내몰린 근로자와 가족들이 조금이나마 위로가 될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면 고맙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옛 시민버스 직원들은 노동자 자주관리회사를 표방하고 설립한 시티라인㈜과 체불임금을 일부 주기로 한 업체를 지지하는 쪽으로 나누어졌다. 창원시 시내버스 신규업체 모집에는 시티라인과 태영서비스 등 10개 업체가 신청했다.
시민버스노조 정차원 전 위원장은 "부도로 조합원들 전 재산인 퇴직금과 체불임금 50억 원을 다 잃게 된 상황에서 태영과 접촉해 고용과 퇴직금·체불임금 50%를 위로금으로 줄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아 변호사를 통해 공증과 25억 원을 은행에 예치해 뒀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노동자 자주관리회사도 검토해봤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아 반대한다고 밝혔다. 정 전 위원장은 "일부 조합원들이 주장하는 자주회사에 대해서도 많은 조언과 우려의 목소리를 조합한 결과 조합원 90명은 현실적으로 자주회사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며 "1년에서 많게는 27년 동안 평생을 바친 전 재산을 포기하기에는 너무나 가슴이 저리고 아픈 마음을 누구를 잡고 이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또 자주회사 반대 이유에 대해 "경리부장 등 관리자들이 포함된 자주회사는 전 사업주와의 연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오랜 체불로 조합원들은 금융이나 가정생활을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퇴직금, 체불임금 등 모두를 포기하고 신규사업에 필요한 차량구입비, 차고지, 부품대금, 유류대금, 운영비 등 자금을 마련할 능력이나 금융에 빚을 안은 상태에서 또 빚을 내야 하는 불안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회견에 대해 시티라인 측은 "모든 준비를 다했고, 어느 회사보다 잘 꾸려나갈 자신이 있다"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