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이 서·남해와 제주 연안 23개 해역에 고수온 예비특보를 발표했다. 경남은 통영 욕지면 두미도 동단에서 남해·하동 연안, 사천만, 강진만 해역이 포함됐다. 이번 예비특보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빠르다. 매년 고수온 발생 시기가 앞당겨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현실이 우려스럽다.
경남은 지난해 7월 11일 예비특보가 발표됐고 10월 2일이 되어서야 경보가 해제됐다. 이 기간 피해 어가 925곳, 피해액은 659여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 올해 봄 창원에서는 지역 대표 특산물인 미더덕이 대량 폐사해 마산진동 미더덕 축제도 열리지 못했다. 제주에서는 넙치 집단 폐사가 발생했고, 전남 지역은 고수온 장기화로 김 생산 시기가 늦어지는 등 피해가 확산됐다. 문제는 이런 고수온 현상이 일시적 재해가 아니라 지구온난화으로 말미암은 구조적 위기라는 점이다. 바다 수온 상승은 양식 어류 대량 폐사뿐 아니라 해양 생태계 교란과 어업 기반 약화로 이어진다. 기후위기에 대한 실질적 대응 없이는 이 같은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자체는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경남도는 전담 공무원을 지정하고 산소 공급기·순환 펌프 등 장비를 지원하며, 면역증강제 공급과 재해보험 가입 확대 등으로 피해 최소 노력을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도 수온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양식장 관리에 도움을 주고 있다. 수산과학원은 올여름 남해·서해 표층 수온이 평년보다 1도가량 높을 것으로 예측하며 7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고수온 특보가 발효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런 임시적인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뚜렷하다. 해수부가 수년 전 발표한 고수온 저항성 품종 개발·보급 계획도 계속 추진돼야 한다. 지역 차원에서도 피해 어업인 지원을 넘어서 양식장 구조 개선,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 등 장기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어업은 많은 주민의 생계가 걸린 중요한 산업이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재난을 줄이고자 정부와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고 인근 국가와도 교류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