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의회 후반기 의장으로 선출된 배종천 의장이 통합시청사 문제에 대해 매우 불투명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 의장은 시간이 더 필요하다며 의회의 역할론에 의구심을 가진듯한 견해를 밝혔다.

의장의 대표성을 들어 그것이 의회의 전체 여론인 양 확대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의장이 의회운영에 절대적인 권한을 가졌으므로 적어도 의회가 뜨거운 감자인 청사문제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는 개연성을 감지케 한다.

통합한 지 14년이 되는 여수시가 아직 청사 위치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예를 들어 그 같은 논리의 당위성을 공고히 하려는 배 의장의 의도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3려지구는 당시 주민들의 행정편의를 위해 기존 시·군청사를 그대로 존치시켰고 또 그것이 그때의 여론이었음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그 결과 3개 분산 청사를 갖고 있다보니 행정효율이 떨어졌음을 실감하게 됐고 그에따라 최근 통합청사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통합 창원시는 그 태생부터가 다르다. 당시 창원 마산 진해 3개 시의회는 통합주체인 민의를 대변한다는 취지 아래 적정 비율의 의원을 선발한 후 그들이 통합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준비작업을 전담했고 공동임시청사를 뒀다. 더구나 가장 민감한 통합 후 청사문제에 대해 기본적인 위치 결정 가이드라인을 정한 바 있다. 1순위로 마산종합운동장과 진해육군대학 터가 오른 것은 만인이 다 알고 있는 터다.

통합시의회가 통준위의 그 합의안을 존중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청사 갈등이 지역 간 주민대리전 양상으로 악화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며 의원들이 출신지별로 파당을 짓는 추한 의회상도 연출하지 않았을 것이다. 통합시의회가 통준위의 결정사항을 휴지화시킨 것은 단언하건대 시민과의 약속을 의회 스스로가 뒤집은 결과에 다름 아니다. 실태가 그와 같은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든지 시민의견 수렴이나 여론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은 종전과 똑같이 시간을 끌어 청사 갈등 정서를 희석시키려 한다는 오해를 사기에 딱 알맞다.

의회가 청사문제를 해결 짓고 시민들의 신뢰성을 회복하는 길은 통준위의 결정을 준수하는 것 하나뿐이다. 그게 원칙을 세우는 길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