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동정부'로 연결…당대표 당선 가정해 '시너지 효과-악영향' 진단 엇갈려
통합진보당 당권을 놓고 강기갑 후보와 강병기 후보가 박빙 승부를 펼치고 있다. 통합진보당 당 대표가 누가 되느냐는 당내 역학관계 변화뿐 아니라 야권의 정치 지형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강병기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 야권연대는 불가능하다'는 뜻을 피력하는 등 통합진보당 당내 선거에 개입하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통합진보당이 여론의 질타를 받는 상황을 감안해 거리 두기를 하면서도 연대의 끈 역시 이어가려는 발언으로 풀이됐다.
통합진보당 당내 상황이 어떻게 정리되느냐에 따라 민주통합당의 대권 경선 판도 역시 그 모양새를 달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이다. 특히 김두관 지사 측에서는 강병기 후보가 경남도 정무부지사를 역임한 탓에 그 누구보다 통합진보당 대표 선거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 강병기 후보가 통합진보당 대표가 됐을 때 김두관 지사의 대권 레이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여러 이야기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일단 표면적으로는 강병기 후보의 승리가 김두관 지사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김두관 지사가 강조하는 정치적 성과물 중 대표적인 것이 야권연대를 통한 '지방공동정부' 구성이다. 강병기 후보는 '지방공동정부'의 한 축이었고 정무부지사 재직 시절 김 지사와 정치적 동반자임을 강조해왔다. 만약 새누리당과 보수 언론이 통합진보당을 종북주의 정당으로 몰고 가면 그 소용돌이에 김 지사가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김 지사가 강병기 후보와 통합진보당에 대해 거리 두기를 하는 것도 쉽지만은 않다. 야권 단일화를 통한 지방공동정부 구성 성과를 스스로 부정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김 지사가 민주통합당 경선에서 승리한다 가정하더라도 통합진보당 당내 상황이 이른 시일 안에 정리되지 않고 내홍이 지속된다면 김 지사로서는 답답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 소장은 "경남도 정무부지사를 지낸 강병기 후보가 승리하면 김두관 지사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강병기 후보가 구 당권파의 암묵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는 하지만, 당을 혼란에 빠트린 구 당권파의 책임을 엄중하게 묻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합리적인 선에서 당을 정상화할 가능성도 있다. 그렇게 되면 김두관 지사와 강병기 후보는 굳건한 연대를 강조하며 바람몰이에 나설 수 있다.
또한 두 사람의 인간적 친분 관계가 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이 제기되기도 한다. 도내 야권의 한 관계자는 "강병기 후보가 공당의 대표고 특정 정파에 속해 있다손 치더라도 김 지사에게 손해되지 않는 선에서 당의 주요 결정을 내릴 수 있고, 보이지 않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