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창원시장이 신년 인사회에서 "시의회의 갈등이 심화해 청사 위치를 조기에 결정하지 못하거나 결정할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주민의 뜻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기자간담회에서는 사람들이 자꾸 새로운 곳에 새로운 것을 지으려고만 생각하는데, 다양한 생각을 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실상 '현 임시청사 리모델링'을 염두에 둔 발언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본보 3일자에 보도했다. 다음날 창원시는 이에 대해 창원시는 본뜻이 왜곡됐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종부 제2부시장은 세 개 지역 가운데 어느 한 곳이 결정되면 신축 아닌 리모델링 검토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마산은 마산합포구청, 진해는 진해구청을 검토할 수 있다고 해명하고 나선 것이다.
이 말을 곱씹어보면 창원시는 시장이 여러 차례 언급한 것처럼 시민 의견을 수렴한 시의회 결정을 존중하고 그래도 조정이 안 되면 시장이 중재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박 시장이 의회갈등이 장기화되면 시장으로서 결단을 내리겠다고 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1월 말까지 의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지만 결론이 안 나면 2단계로 주민 뜻을 묻는 방법을 생각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 시장은 한발 더 나아가 주민투표도 방법이지만, 법적으로 총선 이전에는 그 행위를 할 수 없으니 이를 거치지 않고 주민 뜻을 묻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 개 지역 1000명씩 동수로 하는 자체 여론조사, 혹은 세 개 지역에서 추천하는 전문 여론조사기관 의뢰도 생각할 수 있다고 한 바 있다. 박 시장이 직접 나선 것은 용역 연구보고서로 간단히 결정될 성질도 아니고 결국 지역정치 주체들의 타협과 협조로 결정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둘러 갈 것이 아니라 빠른 시간에 통합청사 소재지를 먼저 결정한 후, 야구장과 통합상징물 소재지를 결정하는 것이 순서다. 특히 창원시 청사의 리모델링 발언에 어떤 의미가 담겼든 통합 당시 통합지명과 청사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묵시적이면서 상식적으로 결정될 것이라고 주민들은 믿고 있었다. 오히려 이 시점에서 청사 리모델링이든 새 청사건립이든 주민의 정서와 문화적 통합에 기반하여 생산적인 곳에 재정을 더 투입하는 방안 모색에 과감한 방향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