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준비위, 청사 위치 미결정…한나라 국회의원 입김 탓도 커

한해가 넘어가는 시점이지만, 창원시는 통합청사 격랑에서 헤어나올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통합청사 문제에 매몰돼 세 개 지역으로 나뉘어 내년도 예산안조차 처리 못 하고 있는 창원시의회에 '지역이기주의'라는 이름 하에 비판의 화살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창원시의회의 이러한 모습은 이미 예견된 것으로 시간의 문제였다. 덧붙여 시의원은 지역구 의견을 반영해야 하는 주민 대표라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들에게 모든 비판을 쏟아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도 함께 따른다.

따라서 단편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면, 결국에는 졸속 통합이 그 근본 원인인 것으로 연결된다. 통합준비위원회와 일부 유력 정치인이 주민 의견을 배제한 채 밀어붙인 졸속 통합을 새삼 되짚어봐야 할 이유다.

통합준비위원회가 비판받아야 할 부분은 가장 민감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명칭·통합청사 위치 가운데, 명칭만 확정하고 통합청사 결정은 미뤘다는 점이다. 특히 통합청사 후보지에 대한 공동1순위·2순위 문제 역시 해석의 여지를 남겨놓는 우를 범했다. 실제 최근 나온 타당성 조사 용역 중간 결과에서 순위는 아무 의미 없음이 확인됐다.

당시 통합준비위원회는 3개 지역 시의원 각 3명, 3개 지역 공무원 각 1명, 도의원 1명, 경남도 1명, 행정안전부 1명으로 구성했고, 표결 권한은 시·도의원 10명에게만 있었다. 당시 위원은 창원시의원 장동화·강기일·정연희, 마산시의원 김이수·이흥범·이상인, 진해시의원 배학술·도인수·유원석, 창원시 안삼두 행정국장, 마산시 황규일 행정관리국장, 진해시 한덕우 총무국장, 김윤근 도의원, 경남도 김종호 통합시출범준비단장 등이다.

이들 가운데 통합 이후에도 시의원직을 이어가고 있는 이는 장동화·강기일·김이수·이상인·유원석 의원이다. 이들 5명은 당시 무책임했던 통합준비위원회 활동은 잊은 채, 현재 최일선에서 통합청사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 당시 활동에 대해 장동화(통합준비위원장) 의원은 "시간적인 제약이 있었다. 특히 창원지역은 통합할 준비가 안 된 상황에서 진행되는 등 복합적인 부분이 있었다"며 한계가 있었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런데, 장 의원은 "통준위 활동 과정에서 한나라당 국회의원 입김도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즉, 졸속 통합의 표면적인 주체는 통합준비위원회였지만, 그 위에는 한나라당 지역 국회의원들이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이들 국회의원은 일련의 통합청사 갈등 진행과정에 책임 있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달 관련 토론회 때 이주영(마산 갑)·안홍준(마산 을) 의원이 애초 참석기로 했다가 공개 진행에 대한 부담 때문에 뒤늦게 불참 통보한 것은 단적인 예다. 그러면서도 물밑에서는 작업을 이어가는 분위기다. 지난 20일 본회의 파행 때 복수의 시의원은 "국회의원이 통합청사 마산, 야구장 진해 유치 뜻을 시의원들에게 전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지역 국회의원들의 모습에 창원진보연합은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결국 창원시의회 파행 책임은 한나라당 국회의원에게 있다. 한나라당 국회의원들은 총선을 겨냥한 지역 갈등 조장과 청사 위치 선정 개입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안홍준 의원 측은 "균형발전 측면에서 통합청사는 마산에 오는 것이 순리"라며 원칙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지방자치 문제이기에 시의회에 개입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