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시행사·주무관청 담합 9000억 횡령 주장

거제와 부산을 잇는 거가대교 건설 과정에서 시행사와 주무관청, 감리단 등이 서로 짜고 최대 9000여억 원의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거제경실련과 부산경실련은 23일 오후 4시 부산시 강서구 거가대교 가덕휴게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가대교 민자투자사업과 관련해 각종 특혜와 비리 의혹을 제기하며 GK해상도로(주)와 주주사인 대우건설 등 7개사, 주무관청인 경남도와 부산시 등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이날 회견에서 거가대교 사업시행자인 GK해상도로(주) 등이 사업비를 부풀려 책정해 놓고 실제로는 공사를 하지 않는 등의 수법으로 최대 9000여억 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고 주장했다.

거가대교. /경남도민일보DB

"사업비 빼돌려 놓고 시민에 통행료 '두 배' 장사"

또 부당하게 취한 이득을 총사업비에서 제외하지 않고 시민들에게 통행료 1만 원을 받는 '통행료 장사'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동철 거제 경실련 공동대표는 "9000억 원의 부당 이득이 환수된다면 현재 1만 원 정도의 통행료를 절반 정도로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실련은 이 사업을 관리 감독해야 할 부산시와 경상남도 등 주무관청들도 시행사의 총 사업비 확장 요구에 대해 제대로 된 검증 없이 승인을 해줬고, 가로챈 9000억 원의 사업비를 알면서도 묵인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공사를 감독하는 감리단까지도 사업시행자와 GK시공사업단의 불법을 묵인해 허위 준공조사를 발행해 불법 준공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의혹을 추가했다.

경실련 측은 사업 제안서를 심의하는 심의위원들도 최소 3~6개월이 걸리는 사업 검토를 보름 만에 승인해 특혜와 비리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거가대교가 총체적인 부정과 비리의 기반 위에 건설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편,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수사 결과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결과에 따라서는 (만일 전체 공사비가 깎인다면) 도에 더 좋은 것이 아니겠느냐"고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