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로봇랜드 사업부지를 육지부로 옮기고 어업권 등 주민생존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것은 지난 5일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가 주최한 '창원지역 발전계획 대안마련을 위한 시민토론회'에서 주제발표한 여영국 경남도의원의 입장이다. 여 의원은 사업이 이대로 추진된다면 제2의 수정만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며 사업부지 이전을 주장했다.
첫째, 어업권 보상문제로 주민환경권 등을 미리 검토하지 않으면 뒤늦게 주민들 간 반목이 생길 수 있다. 둘째, 구산면 구복리 일원은 생태자연도 2등급 터가 73%로 개발지역이 아니라 보존해야 할 지역이다. 셋째, 사업부지 전체가 산사태 위험등급 1, 2등급이고 급경사지가 36.5%에 달한다. 이에 대체부지로 마산 앞바다 매립예정지나 수정만 매립지를 예로 들면서 육지부에 위치하면 도심과 가까우므로 접근이 쉽고 환경도 덜 해친다고 주장했다.
마산로봇랜드 환경영향평가도 허점투성이라 지적했다. 부지면적이 증가했고 4, 5등급 녹지자연도가 제외됐으며 오·폐수처리장 계획도 두 개의 안이 나와 있으며 어업권 보상계획도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영향평가는 서두를 것이 아니라 충분한 시간을 두고 검토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환경재앙이 벌어질 것이라 경고했다.
지난해 10월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경남 마산로봇랜드 특별위원회'에서는 "경제성이 낮지만 국가의 미래 주요산업이므로 사업의 방향을 일부 조정하고 내용을 보완해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경상남도에서는 사업 방향을 '테마파크 위주'에서 '로봇킹덤·로봇아일랜드' 등 산업 연계형 로봇랜드 조성으로 잡아 진행 중이다. 향후 실행계획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오는 2014년 5월 개장을 목표로 10월에 착공할 예정이다.
로봇랜드사업에 대한 경남지역민들의 기대가 큰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사업시행을 계획에 대한 철저한 검증 없이 서둘러서는 안 된다. 환경문제에 대한 검토나 주민의 어업권 보상 등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철저한 검증을 거쳐야 한다. 로봇랜드사업은 사업 초기부터 사업의 정체성, 민자유치사업으로 말미암은 세금 낭비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더는 거가대교, 마창대교와 같은 사업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