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댐 대책위는 한나라당 중심의 경남도의회 예결특위가 삭감한 남강물 관련 도 추경안 삭감에 대하여 분노했다. "대책 없이 날려버린 '남강물 관련 추경예산'은 서부 경남 도민의 '작은 희망'이자 '생존권'이었다"며 '우정수' 사업으로 불리는 낙동강 친환경 대체취수원 사업비 3억 5000만 원에 대한 복구를 주장했다.
남강물 관련 추경예산은 정부의 남강물 부산 공급계획에 대한 대책으로 경남도가 내놓은 '낙동강 친환경 대체 취수원 개발'을 위한 용역비다. 경남도는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반발뿐만 아니라, 경남발전연구원의 용역 결과에 따라 남강댐 물을 부산시에 식수로 공급할 수 없다는 태도다. 이에 경남도는 부산시의 남강댐물 요구에 대한 대책으로 낙동강에 인공습지를 조성하여 부산시에 식수로 공급할 수 있다는 계획을 내놓았고, 이를 위한 용역비를 추경예산으로 편성했는데 경남도의회가 이를 전액 삭감한 것이다.
남강물 부산 공급 계획은 이해당사자인 서부 경남 도민의 의사는 물론 남강댐이 안은 태생적 한계나 특성, 남강댐을 둘러싼 서부 경남의 실정을 철저히 외면한 식수대책이다. 이 때문에 지난 수년 동안 서부 경남 도민들은 생존권 위협 등의 고통에 시달려 왔고 이웃지역인 부산과 반목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경남도가 인공습지 계획안을 내놓았고 '우정수' 사업이라 이름짓기도 했다. 이러한 경남도의 대안 마련은 사업 실현 가능성 여부를 떠나 남강댐 사업으로 말미암은 서부 경남 도민의 상처와 고통을 어루만지면서 사태를 슬기롭게 해결해 보려는 고민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남도의회가 아무런 대안 제시 없이 용역비를 전액 삭감한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즉 경남도 '우정수 사업'에 그나마 작은 위안과 희망을 얻었던 서부 경남 도민을 실망시키고, 잘못된 식수 대책으로 도민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는 정부의 잘못을 거들어 주는 행위이다.
경남도의회는 대책위의 주장처럼 무책임한 예산 삭감 행위에 대해 도민에게 사과하고, '낙동강 친환경 대체 취수원 개발 용역비'를 즉각 원상 복구하고, 경남도의 남강댐 사업 관련 대정부 활동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 또한, 남강물 부산 공급 계획 백지화에도 앞장서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