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상 노년층은 보수적이라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높고 아울러 그들은 투표 당일 비교적 처신이 자유롭다. 반대로 40대 이하 청·중년층은 진보성향이 강한 반면 직장에 얽매여 제약이 따른다. 그에 따른 결론은 불 보듯 뻔하다. 노년층은 마음만 먹으면 하루 중 언제라도 투표하는 데 지장이 없지만 인구비율로 따질 때 절대다수 층은 아니다. 반대로 젊은 층은 분포율은 높으나 직장에 나가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투표도 눈치 봐 가며 해야 한다. 그래서 투표율이 오르면 젊은 층이 많이 참여했다는 뜻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한나라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여지가 많다는 계산이 나온다.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박빙의 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김해을과 분당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의 운명이 이처럼 투표율에 의해 판가름날 것이라는 전망은 꽤 냉소적 반의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투표란 귀중한 참정권의 행사인 동시에 민주주의를 완결하는 다수결의 요체이기 때문에 되도록 많은 유권자가 참여함으로써 실체적 민의에 가깝게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세대 간 이념성향이 노골화하면서 투표율이 당락에 큰 변수로 떠오르기 시작했으며 이번 4·27재보선에서 최대 화두가 되다시피 했다. 투표하는 유권자가 늘어나기를 기대한다거나 이와는 거꾸로 낮은 수치에 머물러 주기를 희망하는 쪽 모두가 그 생각의 발단이 정치적인데 기인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지지층의 한 사람이라도 더 투표장에 나오도록 권유하거나 반대로 그것을 막아보려는 노력이 유권자의 권리를 먼저 고려하지 않는 탓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투표는 개인의 권리가 반영되는 선거행위이며 피선거권자에게는 정치적 정통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되도록 많은 사람이 투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근본이다. 세대 구별 없는 자발적 참여 아래 민의를 알 수 있는 최소한의 투표율이 필요한 이유다. 30% 전후의 투표율로 그 척도를 삼는다는 것은 한계일 수밖에 없다.
이틀 앞으로 바짝 다가선 김해을 보궐선거를 맞아 투표권을 가진 유권자들이 다시 한 번 마음을 다잡을 때다. 이와 함께 직장이나 기업체가 종업원들로 하여금 투표 우선의 직장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