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도시 컨센서스' 창립식서 "보 설치·준설 환경 파괴와 재앙 가져올 것"
30일 국회를 방문한 김두관 경남지사는 귀빈식당에서 열린 '인간도시 컨센서스' 창립식에 참석해 "(경남 도정은) 자연이 살아 숨쉬고,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경상남도 인간도시 실현 경험과 과제'를 발표하며 "웰빙시대 삶의 가치는 인간다운 삶"이라며 "인간이 마음과 몸으로 느끼는 행복지수로서 삶의 질이 국가경쟁력의 평가지표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녹색성장에 대해 김 지사는 "우리의 욕구와 편의대로 마구잡이 개발이 아니라 성장과 보존,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날 김 지사는 검토와 보완이 요구되는 사례로 '김해시 공장 난개발 문제'를 들었다.
김 지사는 개별 입주한 공장이 각 마을을 포위해 분포하는 등 주민거주 환경이 악화되는 등 만성적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2009년 말 김해지역에 등록된 공장은 모두 4676개로 개별입주가 4484개(95.8%)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계획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마산 해양신도시 개발은 당초 6910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2017년까지 가포·서항 일원 바다 177만 4000㎡를 매립해 1만 가구 주거지, 상업·공공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도시환경을 크게 훼손할 뿐만 아니라 매립지에 대규모 주거지 조성은 부적절해 앞으로 매립규모 축소와 시민을 위한 테마파크 조성 등으로 사업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김태호 전 지사가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핵심사업인 남해안시대 프로젝트도 해안개발계획 중에 섬과 섬을 연결하는 오션브리지 등 84개 사업 9조 8019억 원이 소요되는 대형 개발사업 위주로 계획돼 있어 수려한 남해안 경관의 훼손 여부가 걱정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김 지사는 "세부적으로 보완할 것"이라고 했다.
낙동강 사업 추진과 관련해서 김 지사는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는 4대강 사업은 인간이 자연과의 조화를 포기한 사업이라는 생각"이라며 "자연 생태를 거스르는 보 설치와 하도 준설, 도심형 주변공원 개발 등 기본적으로 환경을 파괴하고 재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특히 "낙동강 사업에 대해 첨예하게 중앙정부와 갈등을 겪고 있다"며 "사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갈등이 없었으면 좋겠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중앙과 지방이 갈등할 때의 모델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날 자리에는 김두관 경남지사와 민주노동당 권영길(창원 을) 의원, 민주당에서는 박지원 원내대표를 비롯한 천정배 최고위원, 김재윤, 김진애, 최문순 의원 등 야권 의원들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