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 일정에 따라 민간자본유치를 성사시켰다지만 지금은 행정절차상 매우 민감한 시기다. 이미 7월 초 통합 창원시가 출범되도록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이 큰 프로젝트는 조금 기다렸다가 통합시장 체제 아래 수행하는 것이 좋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현 시장이, 그것도 선거에 전력투구하고 있는 입장에서 과연 한치 소홀함 없이 앞과 뒤를 챙겼는지 의문이 따른다고 할 것이다. 특히 39사단 터는 시민들이 다 알고 있듯 통합 청사와 연관된 곳이다. 창원시 의원이 부적절한 대민 메시지를 보내 마산·진해 시의원들로부터 불신임을 받지 않았는가. 선거와 통합을 직전에 둔 시점에서 이루어진 민간업체 유치 결정이 그것과 상관없다고 강조한들 누가 믿겠는가. 본의는 아니라 해도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설과 닮은꼴이다.
106만㎡ 터 중 상업지 및 공동주택용지 비율이 33.49%라는 개발계획안이 적절한 것인지는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 분석돼야 할 일이지만 전체 터의 상당면적이 산지에 속하기 때문에 실제 가용면적대비 개발면적이 작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계획안에 포함된 31만㎡의 북면 사격장 역시 그 구성비율이 유사하다. 민간 자본의 속성에 비추어 일정한 이득이 보장돼야 하지만 공익을 훼손하는 크기가 크면 클수록 손해를 입는 건 시민이다.
그 때문에 기부 대 잉여방식의 민간자본유치에 대해 의구심이 일어난다. 39사단 터 주변은 이미 도심으로 형성돼 있기 때문에 개발 자금 환수에 따른 위험성이 적은 것이 사실이다. 자치단체가 직접 시공함으로써 시민들이 바라는 바의 도심공원화 사업에 개발 중심을 둘 수 있다는 반론이 힘을 얻는 이유다. 39사단 터 활용이나 개발 계획은 100년 앞을 내다보아야 할 도시 미래 비전과 맞물려 있다. 시기적으로는 성급했고 내용 면에서는 중의를 아우르지 못했다는 개운찮은 뒷맛을 남겼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경남도민일보
webmaster@idomin.com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