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39사단 터 개발문제가 민간업체 선정 과정에 들어서면서 아주 빠르게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지난달 제안응모에 참가한 단 한 곳뿐인 희망업체에 대해 전문기관에 의뢰한 적격심사가 통과된 후 창원시는 곧바로 MOU를 체결했다. 39사 이전이 15~16년을 끌었고 이전지인 함안 군북에선 공용화기 사격장 설치를 두고 주민과의 마찰이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꽤 신속한 행보다.

애초 일정에 따라 민간자본유치를 성사시켰다지만 지금은 행정절차상 매우 민감한 시기다. 이미 7월 초 통합 창원시가 출범되도록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이 큰 프로젝트는 조금 기다렸다가 통합시장 체제 아래 수행하는 것이 좋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현 시장이, 그것도 선거에 전력투구하고 있는 입장에서 과연 한치 소홀함 없이 앞과 뒤를 챙겼는지 의문이 따른다고 할 것이다. 특히 39사단 터는 시민들이 다 알고 있듯 통합 청사와 연관된 곳이다. 창원시 의원이 부적절한 대민 메시지를 보내 마산·진해 시의원들로부터 불신임을 받지 않았는가. 선거와 통합을 직전에 둔 시점에서 이루어진 민간업체 유치 결정이 그것과 상관없다고 강조한들 누가 믿겠는가. 본의는 아니라 해도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설과 닮은꼴이다.

106만㎡ 터 중 상업지 및 공동주택용지 비율이 33.49%라는 개발계획안이 적절한 것인지는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 분석돼야 할 일이지만 전체 터의 상당면적이 산지에 속하기 때문에 실제 가용면적대비 개발면적이 작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계획안에 포함된 31만㎡의 북면 사격장 역시 그 구성비율이 유사하다. 민간 자본의 속성에 비추어 일정한 이득이 보장돼야 하지만 공익을 훼손하는 크기가 크면 클수록 손해를 입는 건 시민이다.

그 때문에 기부 대 잉여방식의 민간자본유치에 대해 의구심이 일어난다. 39사단 터 주변은 이미 도심으로 형성돼 있기 때문에 개발 자금 환수에 따른 위험성이 적은 것이 사실이다. 자치단체가 직접 시공함으로써 시민들이 바라는 바의 도심공원화 사업에 개발 중심을 둘 수 있다는 반론이 힘을 얻는 이유다. 39사단 터 활용이나 개발 계획은 100년 앞을 내다보아야 할 도시 미래 비전과 맞물려 있다. 시기적으로는 성급했고 내용 면에서는 중의를 아우르지 못했다는 개운찮은 뒷맛을 남겼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