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경남도에 의견서
단체는 의견서를 통해 "마산 해양 신도시 건설 사업은 사업비 6910억 원을 들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서항·가포지구 일원 177만 4000㎡에 해양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이다. 이 사업의 골자는 가포지구에는 항만시설, 서항지구에는 준설토 투기장을 조성해 메운 땅 위에 인구 약 3만 명을 수용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업이 초기와는 달리 지역 사회의 여건이 크게 변화해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단체는 "행정통합이 이뤄지면, 인구 110만을 헤아리는 통합시의 도시계획은 전면 재검토될 것이 틀림없다. 마산만의 통합적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 또한 새롭게 모색될 것이다. 나아가 인구 110만의 삶의 질 향상과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마산만의 보전과 이용에 대한 새로운 밑그림이 마련돼야 한다. 따라서 해양 신도시 건설사업 실시설계인가는 반드시 창원, 마산, 진해시의 3개 지자체의 행정 통합 이후로 유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단체는 통합 이후 '구항의 수변공간을 어떻게 새롭게 디자인하고, 구도심과 연결할 것인지', '마산만의 통합적 유지 관리 방안은 무엇인지', '향후 항로 유지를 위한 준설이 필요하면, 준설토 재이용 방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지역 사회에서 논의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단체는 "가포신항은 애초 컨테이너 전용항만으로 4선석으로 예정됐다. 하지만, 컨테이너 수요 예측이 과다해, 2선석으로 줄었다. 여기에다 선박 입출항에 특별한 문제가 없고 마산항 내 부두와 항만시설이 재배치되고 있어 항로유지를 위한 준설계획 자체가 재검토돼야 한다는 의견이 분분하다"며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전했다.
마산시의 인구 추이, 아파트 미분양 속출 등 현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서항 지구 매립지에 1만여 가구 아파트와 상업 및 업무지구를 조성하는 것은 구도심의 기능 마비와 상권몰락, 도심공동화를 부추긴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편, 이들 단체는 지난해 말 마산 해양 신도시 건설사업 반대를 요구하는 시민 서명 자료를 도에 제출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우귀화 기자
wookiza@idomin.com
자치행정1부에서 창원시, 창원시의회 담당하고 있습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