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역사 탐방대 만든 경남대 유장근 교수

지난 19일 내가 관리자로 있는 경남지역 메타블로그 '블로거's경남'(http://metablog.idomin.com)에 '마산역사 탐방대를 모집합니다'라는 모집공고가 떴다. 글을 전송한 곳은 '옥가실'이란 필명을 쓰는 경남대 인문학부 유장근 교수의 블로그(http://blog.naver.com/yufei21)였다.

"그간 간헐적으로, 또 이 블로그를 통해 시도하였던 마산 역사 중심의 도시탐방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현재의 예정으로는 토요일 오후 2시쯤에 만나 5시 반쯤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예상기간은 10주 정도이며, 격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주말부터 발걸음을 떼려고 합니다."

호기심이 확 생겼다. 대개 교수들이란 누군가가 다 준비해놓은 자리에 '초빙'받아 강연을 해주고 사례를 받게 마련이다. 그런데 유장근 교수는 자신이 직접 사람을 모으고, 주말 오후 시간을 몽땅 투자해 역사 탐방 가이드를 자처한 것이었다. 물론 자신이 받는 '강연료'나 '가이드 사례'도 없다. 게다가 그는 지역사에 관심이 많은 역사학자이긴 하지만 마산 출신도 아니다. 그의 고향은 충남 부여군 은산면 가곡리 옥가실이다. 블로그 필명 '옥가실'도 고향마을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사람들은 대개 (물론 나는 동의하지 않지만) 토박이도 아닌 외지 출신이 지역의 역사에 관심을 갖는 걸 이상하게 보거나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유 교수는 왜 이런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리고 이런 탐방 행사를 통해 무엇을 얻으려는 것일까? 그게 궁금했다.

24일 아침 '유장근 교수의 도시탐방대 : 걸어서 만나는 마산이야기'(http://cafe.daum.net/masanstory) 카페에 대원 가입을 하고, 오후 2시 집결지인 3·15의거기념탑으로 나갔다. 모집 기간이 5일에 불과했지만 20명이 참여했고, 각자 1만 5000원을 내고 연두색 조끼를 받아 입었다. 현장에서 보니 유장근 교수가 탐방대장, '재야 사학자'로 통하는 박영주 씨가 부대장, 그리고 회사원 류창현 씨가 카페지기 겸 총무를 맡고 있었다.

"러시아공사관·호텔, 영국영사관 수 많은 근대 건축물 보존했다면 상해 와이탄 부럽지 않았을텐데"
"지금껏 살아오면서 '반장'이나 '회장'도 아닌 '대장'을 맡은 것은 처음"이라며 입을 연 유 교수는 "누군가에게 '학자는 불평만 하면 안 된다'는 말을 들었는데, 그 말이 이번 탐방을 계획한 계기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어떤 '불평'을 해왔던 걸까?

자산동 몽고정을 거쳐 '진주대로'를 통해 월영동 댓거리에 이르는 동안 틈틈이 유 교수에게 질문을 던졌다.

-이런 역사 탐방에 참여한 사람들이 얻을 수 있는 게 뭘까요?

△지역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면 자기가 사는 지역에 그만큼 애정이 생깁니다. 사실 내가 마산이라는 지역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여기 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부터였거든요. (그는 1982년 마산에 온 뒤 27년 째 신마산에 살고 있다.) 나라를 빼앗겨도 역사와 말을 갖고 있으면 언젠가 되찾을 수 있다는 말처럼 지역도 마찬가지입니다. 시민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곧 그 지역을 살기좋은 곳으로 만드는 힘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탐방 행사도 행정기관에서 먼저 나서야 할 일이 아닌가요?

△대개 행정기관은 역사나 문화보다는 외형적 치장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러나 마산은 아무리 가꿔도 창원과 같을 수는 없습니다. 흔히 마산을 오래된 도시, 낡은 도시라고들 하는데, 사실 어떤 도시든 시간이 지나면 낡은 도시가 되거든요? 그러면 오래된 도시의 특색을 살리고, 역사·문화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지 고민해야 하는데 정작 거기에 대한 관심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오로지 매립과 공단 조성, 공장 유치에만 몰두하는 것이…….

△그래요. 한국의 근대 도시개발이라는 게 사실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위해 시작되었는데, 그 때의 개발은 식민도시 원주민의 삶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지배자들이 그걸 통해 어떻게 자신의 부(富)를 얻을까 하는 게 목적이었죠. 일본인들이 한국에서 상공회의소를 만든 것도 식민지 지배의 관점에서 매립을 하고 철도를 놓고, 그렇게 개발을 해서 자기들의 부를 축적하기 위한 것이었거든요. 그런데 지금의 행정기관이나 상공회의소도 그런 일제의 식민지 개발 유산을 그대로 물려받은 것 같아요. 사실 중국이나 다른 나라의 상공회의소는 지역봉사와 복지 개념이 많이 강조되고 있거든요? 학교를 운영하거나 복지시설을 설립하는 일도 상공회의소가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상공회의소는 그런 게 없잖아요. 현재의 개발 위주 행정도 그런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행정가나 상공인들이 지역 역사를 공부해야 겠군요.

△그게 제일 중요하죠. 그런데 행정가가 자기 지역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없으니 지역의 특성과 장점을 살린 행정을 펼치지 못하는 겁니다. 내가 얼마 전에 블로그에 썼던 만날재의 신당과 주막거리도 중요한 역사와 문화적 자원인데…….

-교수님이 생각하시는 마산의 역사·문화 자원 활용방안은 어떤 게 있을까요?

△우선 융희 황제(순종)가 마산에 왔을 때 지났던 '진주대로'(자산동 경남데파트 뒷길부터 장군시장을 지나 반월시장으로 이어져 진주로 통하는 길)를 '융희로' 또는 '순종로'로 지정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조선시대 조창과 유정당(8개 동, 53칸) 건물, 그리고 옛 항구를 복원하면 진주 남강과 촉석루만큼 명물이 될 것입니다. 이를테면 아름다운 해변공원이 되는 거죠. 그렇게 되면 쇠락하고 있는 창동 상권도 다시 번창할 수 있습니다. 사실 마산을 근대역사도시라고들 하지만, 마산의 역사를 드러낸 건물이나 공간은 거의 없지 않습니까?

-그런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바다를 매립하고 공장을 짓고 신도시도 뚝딱 만드는데, 그 정도도 못할까요? 마산항은 특히 조선의 3대항이었습니다. 동해엔 원산, 서해에는 강경, 그리고 남해는 마산포였죠. 부산은 원래 포가 중심이 아니라 동래가 중심이었거든요. 목포·인천은 새로 생긴 항구도시고요. 우리나라에서 조선시대의 항구 모습이 남아 있는 데가 한 군데도 없습니다. 그래서 전통시대의 항구가 어떻게 생겼는지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요. 마산의 조창이 영남 일대에선 가장 큰 규모였으니 역사적 가치도 충분하죠.

어시장도 그래요. 그나마 어시장이 마산의 자랑거리인데, 외지인이 어시장에 오면 부가적으로 볼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그냥 어시장만 보고 가는 게 아니라 다른 뭔가 교육·관광명소가 있어야 한다는 거죠. 그래서 '어류박물관'이라든지, '어시장 기록관'도 필요하고, 어시장 축제를 더 발전시켜 다양한 해양음식을 개발하는 노력도 필요하죠. 마산의 선창과 해양음식을 발전시켜 도심지를 리모델링하는 게 마산을 살리는 길이라고 봅니다. 사실 지금도 해양음식이 가장 발달한 곳이 마산이거든요. 통술도 그렇고…….

-그러고 보니 마산은 뚜렷이 내세울 역사·문화의 명물이 없네요.

△그렇죠. 따지고 보면 순천 낙안읍성까지 갈 필요도 없이 마산 일대는 읍성 투성이 고장인데, 그것도 활용을 못하고 있는 거죠. 우선 성(城)도 있고 객사도 남아 있는 진동읍성부터 복원할 수 있겠죠.

-듣고 보니 마산에도 가치있는 게 많군요.

△마산은 또한 자연환경이 너무 좋은 곳입니다. 그런데 정작 마산에 사는 사람들은 이렇게 좋은 자연환경을 못 느끼는 것 같아요. 일제시대 마산이 전국 제일의 양조 도시가 되었던 것도 햇빛이 풍부하고, 물이 깨끗하며, 산도 있고 바다도 있는 천혜의 환경 때문이었죠. 나도 마산에 와서 제일 반했던 게 기후였는데, 겨울에 따뜻하고 여름엔 시원한 이런 도시가 드물어요. 일본인들이 마산을 '휴양의 도시, 관광의 도시'라고 소개한 이유가 있었던 거죠. 그래서 결핵병원도 마산에 생긴 거고…, 국군병원이 마산에 들어온 것도 이유가 있는 겁니다.

-저도 사실 마산이 그렇게 좋은 곳인지 가치를 모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마산은 지금과 정반대로 가야 좋은 도시가 됩니다. 자연환경을 살리고,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거죠. 그런데 마산은 식민지 시대부터 국가의 전략에 의해 형성된 도시라 그런지 국가의 지원이 없으면 자생력을 갖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는 것 같습니다. 식민시대의 나쁜 유산이죠. 도시가 공장에만 의존해 있을 경우 산업정책이나 기업의 전략이 바뀌면 한 순간에 쇠락할 수 있어요. 미국의 거대 공업도시들이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부침을 거쳤듯이 말이죠. 제가 볼 땐 창원도 오래 가진 못합니다. 창원에서 공장이 떠났을 때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그래서 공장에 의존하는 도시가 아니라 '살만한 도시'를 만들어야 합니다. 음식 맛도 좋고…, 그게 도시의 경쟁력이죠. 자연환경과 문화유산, 즉 생태와 문화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도시가 마산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마산은 그 역방향으로만 달려왔죠.

유 교수는 그동안 행정가들이 조금만 신경을 썼더라면 상하이처럼 마산도 도시 자체를 근대박물관으로 보존할 수도 있었을 거라며 아쉬워했다. 상하이는 조계지였던 와이탄을 잘 보존해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가꿔냈다는 것이다. 마산도 러시아공사관과 러시아호텔, 영국영사관, 신동공사는 물론 수많은 일제 건축물들이 있었는데 거의 대부분 철거돼 원형을 알 수 없게 되어 버렸다. 한일합섬 공장을 철거할 때 공장 일부만이라도 남겨 보존하자는 의견을 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무조건 헐고 시작하려니까…"라며 쓸쓸히 웃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