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내규 따른 것" 책임 회피 지적 일축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숨진 인원을 ‘희생자’ 또는 ‘피해자’가 아닌 ‘사망자’로 규정한 이유가 정부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전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그 이유를 ‘재난 용어 중립성 확보’ 차원이라고 들었다.

박종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브리핑을 열어 용어 정리 경위를 설명했다.

그는 먼저 “재난 관련 용어는 정부부처나 지방자치단체 등 굉장히 많은 기관이 협업하기에 통일이 필수적”이라고 전제했다. 그 중 ‘사망’ 용어를 두고는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일종의 내규가 있다”며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려한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박 정책관은 “희생자라는 용어를 썼다고 해서 책임 추궁을 당하지 않고 사망자라는 표현을 쓰면 책임을 안 지고 그런 건 아니지 않나”라며 ‘늑장 대응’ 책임론이 일자 정부가 사망이라는 중립적인 용어를 써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을 일축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왼쪽 두번째)이 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관련 중대본 회의 내용 등을 브리핑 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던 중 박종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왼쪽 두번째)이 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관련 중대본 회의 내용 등을 브리핑 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던 중 박종현 행정안전부 사회재난대응정책관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참사·압사 대신 ‘사고’로 용어를 정한 이유로는 이태원 지역 상권 악영향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박 정책관은 이태원이 국내외적으로 유명한 관광지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런 지명 뒤에 참사, 압사라는 용어를 쓰면 그 지역 이미지가 굉장히 부정적이 되고, 그 피해는 이태원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자영업자에게 갈 것”이라며 “굉장히 위험한 곳인가 해서 관광객이 가기를 꺼려하는 효과를 줄 수 있어 ‘이태원 사고’로 하자고 합의를 봤다”고 밝혔다.

그는 “세월호 참사는 지명이 없어 아예 지명을 빼자는 의견을 제시한 분도 있었다”며 “한데 지명을 빼면 핼러윈 사고 이렇게 되다 보니 안 맞는 것 같이 ‘이태원 사고’로 합의하는 데 걸린 시간은 길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태원 사고 사망자’는 정부 가 정한 것일뿐 다른 용어도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정책관은 “중대본은 이것을 권고한 것이고 (다른 용어도) 얼마든지 쓸 수 있다”며 “일반 국민이나 언론은 대부분 참사, 압사 이런 표현을 쓰고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김두천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