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
1950·2000년대 성차별사회 관통
억압 벗어나려는 여성 삶 비춰

'본연의 나'로서 살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을까. 구조적 문제와 사회적 편견이 있는 한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아가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사회적 약자에겐 특히 더 그렇다. "세상이 이런 데 뭐", "다수가 이런데 뭐" 따위의 말은 본연의 나로 살고픈 사람들의 의지를 꺾고, 차별과 혐오를 만들 뿐이다. 사회적 약자의 앎과 관심, 그들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태도는 본연의 나로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든다.

<디 아워스>는 각기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이야기다. 1920년대 <댈러웨이 부인>을 집필 중인 버지니아 울프(니콜 키드먼), 1950년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주부 로라(줄리앤 무어), 2000년대 미국 뉴욕에 사는 출판사 편집장 클래리사(메릴 스트립)다.

▲ <디 아워스> 포스터.
▲ <디 아워스> 포스터.

주인공들은 틀에 갇혀서 산다. 그들은 남편의 억압에서 벗어나 살고 싶고, 남들에게 비친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그냥, 나로서 살고 싶다.

영화는 세 여성의 각기 다른 하루를 담는데 연결고리는 <댈러웨이 부인>이다.

버지니아 울프는 <댈러웨이 부인>을 쓴 작가고 로라는 책을 읽으며 공감한다. 클래리사는 책 속 주인공 이름과 똑같다. 그래서 에이즈에 걸린 옛 연인 리처드(에드 해리스)가 클래리사를 "댈러웨이 부인"이라고 부른다.

버지니아 울프는 자살을 시도한 이후 남편 레너드와 함께 요양차 런던에서 리치먼드로 이사한다. 그는 환청, 우울 등으로 힘들어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그를 고통스럽게 하는 건 남편의 간섭과 억압이다. 결국 버지니아 울프는 폭발한다.

"갇혀 있는데도 꾹 참았어요. 죄수 취급을 꾹 참았다고요! 어딜 가나 의사들이 따라다녀요. 어떤 게 내게 좋은지 그 의사들이 다 정해주죠. 날 위해서가 아니에요.", "난 어둠 속에서 혼자 고통받아요. 깊은 어둠 내 상태가 어떤지는 나만 알아요. 매일이 무서워요? 내가 사라질까봐? 레너드 나도 매일 그게 겁나요. 이건 내 권리예요. 모든 인간의 권리죠."

결국 버지니아 울프는 죽음을 택한다.

▲ 1920년대 버지니아 울프. /스틸컷
▲ 1920년대 버지니아 울프. /스틸컷
▲ 1950년대 로라. /스틸
▲ 1950년대 로라. /스틸

둘째 아이를 임신한 로라는 남들 보기에 행복한 가정을 꾸린 듯하다. 하지만 공허하고 답답하다. 자살을 시도하지만 포기한 그는 끝내 둘째 아이를 출산한 후 가족을 버리고 떠난다.

지난달 경남대표도서관에서 주최한 '일곱 편의 영화로 보는 페미니즘'의 강사 손희정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는 이 영화를 추천하면서 로라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에 주목했다. 그의 설명을 빌리자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징집된 남성들이 미국으로 돌아왔고 국가는 남성들에게 안정적인 직장과 편안한 가정을 제공했다. 이에 전쟁 기간에 남성들을 대신해 일을 했던 여성 노동자들은 대거 해고됐다.

손 교수는 "1948년 여성 노동자 400만 명 중 300만 명이 해고됐고 1950년 초혼 연령, 대학 진학률이 떨어졌다"며 "또 여성들의 우울증약 복용률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로라와 친구의 대화 장면에서 이 내용이 나온다. "남편들은 대단해"(친구), "전쟁 치르고 돌아왔으니 누릴 자격이 있지. 그 고생을 했는데"(로라), "뭘 누릴 자격?"(친구), "글쎄. 우리 같은 아내들? 이 모든 것들."(로라)

▲ 2000년대 클래리사(왼쪽). /스틸컷
▲ 2000년대 클래리사(왼쪽). /스틸컷

클래리사를 '댈러웨이 부인'이라 부르는 리처드는 로라의 첫째 아들이다. 소설가 리처드는 문학상 수상 축하 파티를 앞두고 클래리사가 보는 앞에서 죽음을 택한다. 아들의 부고를 전해듣고 클래리사 집에 온 로라의 대사가 인상적이다.

"외톨이가 된 느낌에 자살 충동이 들 때가 있죠.(중략) 그날 밤에 계획을 세웠죠. 둘째가 태어나자마자 가족을 떠나기로요. 정말 그렇게 했죠. 어느 날 일어나서 아침을 차리고 버스 정류장에 가서 버스를 탔어요.(중략) 후회한다고 말할 수 있다면 참 좋겠죠. 후련할 거고요. 하지만 무슨 소용이에요? 그럴 수밖에 없었는데.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죠? 감내해야죠. 그래요. 아무도 날 용서 못 하겠죠. 죽음 속에서 난 삶을 택했어요."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