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오세훈·부산 박형준 당선…국민의힘, 최대 승부처 수복
민주, 지도부 책임론·쇄신론·대선 룰 갈등 '후폭풍' 예상

국민의힘이 4·7 재·보궐선거 최대 승부처인 부산과 서울 광역단체장 보선에서 예상대로 압승을 거뒀다.

국민의힘 박형준(부산)·오세훈(서울) 후보는 7일 밤부터 8일까지 진행된 개표에서 시종일관 더불어민주당 김영춘(부산)·박영선(서울) 후보를 앞선 끝에 큰 격차로 새 시장에 당선됐다.

국민의힘의 승리는 지방권력과 의회권력을 독점하다시피 한 거대 여당 견제론의 승리이자, 국민의힘이 선거 내내 주장한 '위선과 오만과 무능 정권 심판론'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

민주당은 부산 가덕도 신공항과 4차 재난지원금 등으로 대표되는 물량공세와 박형준·오세훈 후보의 비리 의혹에 근거한 거짓·부패세력 심판론으로 맞섰으나,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땅투기 의혹과 집값 폭등 등 현 정부 부동산 실정에 좌절하고 분노한 민심을 거스를 수는 없었다.

▲ 4·7 재보궐 선거 국민의힘 오세훈(위 사진 가운데) 서울시장 후보가 방송3사(KBS·MBC·SBS) 공동 출구 조사 결과 1위로 발표되자 손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 4·7 재보궐 선거 국민의힘 오세훈(위 사진 가운데) 서울시장 후보가 방송3사(KBS·MBC·SBS) 공동 출구 조사 결과 1위로 발표되자 손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이번 부산·서울 보선이 민주당 소속 오거돈 전 부산시장과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비위가 촉발한 선거고 그 피해 당사자들의 고통이 여전히 진행형인 점도 냉정하게 평가됐을 수 있다.

국민의힘으로서는 부산과 서울이라는 정치적·상징적 의미가 작지 않은 두 도시에서 거둔 승리라 더 값지다. 본래 보수 안방이었으나 문재인 정부 들어 주도권을 빼앗긴 형국이었던 부산과 2011년 재보선 이후 10년 가까이 열세를 면치 못했던 서울에서 지지세를 회복함으로써 내년 대통령선거 전망을 밝혔기 때문이다.

물론 국민의힘 스스로 인정하듯 국민의 적극적 신뢰가 표심으로 나타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세훈 당선인은 유세 과정에서 "한 젊은이가 '국민의힘이 좋아서, 오세훈이 잘해서 지지하려는 것 아니다. 정부·여당이 하도 형편없어서 분노의 마음으로 한 번 뽑아주려고 한다. 잘하는지 지켜보겠다'고 했다. 이 얼마나 무서운 말인가"라고 했다.

오 당선인 말처럼 "일한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치면 또 생각이 바뀔 수 있는 게 젊은층"임을 유념하지 않으면 언제든 1년 전 참패의 악몽이 재연될 수 있다.

민주당은 거센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재보선은 어쩌면 하나의 계기일 뿐이다. 지난 연말부터 본격화된 지지율 하락세로 당락과 상관없이 지도부 책임론과 쇄신론이 분출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 4·7 재보궐 선거 국민의힘 박형준(사진 왼쪽 넷째) 부산시장 후보가 방송3사(KBS·MBC·SBS) 공동 출구 조사 결과 1위로 발표되자 손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 4·7 재보궐 선거 국민의힘 박형준(사진 왼쪽 넷째) 부산시장 후보가 방송3사(KBS·MBC·SBS) 공동 출구 조사 결과 1위로 발표되자 손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대 관심은 다음달로 예정된 당대표·원내대표 경선과 오는 9월 전 완료해야 하는 대선후보 경선이 정상적으로 치러질 수 있는지 여부다.

이 중 대선후보 경선은 여권 내 1강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어 향후 당내 갈등의 치명적 뇌관이 될 수 있다. 이 지사 측은 대선 6개월 전까지 당 후보를 선출하도록 한 당헌·당규를 따라야 한다는 원칙론을 고수하는 반면, 친문세력을 중심으로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재보선 파장을 수습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 지사 측은 당연히 친문 구미에 맞는 주자의 부상을 기다리기 위한 꼼수라고 의심한다. '드루킹 사건'(민주당원 인터넷 여론조작 사건) 관련 대법원 최종 판결을 앞두고 있는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그 주요 경계 대상이다.

'원팀 정신'을 강조하던 민주당과 청와대의 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도 관심이다.

이번 재보선 기간 당정청은 부동산 문제 해법을 둘러싸고 적잖은 시각차를 드러냈다. "부동산 정책을 잘못했다"는 박영선 후보 등의 주장에 맞서 청와대는 "성패를 말하기엔 복합적"이라고 항변했고, 대출규제 완화, 공시가 인상 제한 등의 공약을 쏟아내는 여당에 청와대·정부는 "논의된 바 없다. 정책 일관성이 중요하다"는 반론을 폈다.

이런 현상은 대선이 다가오면 올수록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현 정부 실패와 오류를 극복하고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줘야만 하는 세력과 가속화될 문 대통령 레임덕을 최대한 지연시키며 퇴임 후 안전판을 만들어내야 하는 세력 간의 양보 없는 '내전'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