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용 새누리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당 경남선거대책위원장이기도 하다. 대통령 선거를 이기기 위해 지역을 책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침 경남이 도지사 보궐선거를 함께 벌이는 만큼 그쪽 선대위원장 역을 동시에 맡은 셈이므로 당 선거역할로 치면 지역 최고 공인이라 할만하다.

그런 그가 경남 관련 대선공약을 발표하면서 홍준표 도지사 후보의 도청이전 공약을 거론하지 않은 것은 무슨 까닭인지 배경이 애매모호하다. 대선공약이 꼭 지사공약과 궤를 같이하지 않고 이원화, 즉 따로따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견해는 다만 경우의 수에 해당하는 말의 성찬일 뿐이다. 홍 후보의 도청이전 공약은 경선의 변수로 작용하면서 창원뿐만 아니라 진주의 도청 제2청사설까지 탄력을 받게 해 경남 전체를 하나의 태풍권으로 몰아간 초미의 관심사다.

경선용으로 겨냥한 일회성 공약도 아니다. 홍 후보는 새누리당 경남도지사 후보로 선출된 후 도청 마산이전에 따른 대체적인 추진방법을 제시한 바 있기 때문에 그의 선거 공약 중 가장 대표이며 확실성을 가진 공약으로 자리매김한 것이 기정사실이다.

후보의 이 같은 중심공약을 도당위원장이 대선과 상관없을뿐더러 검토한 적도 없다고 잘라 말하는 것은 아무래도 상식과는 어긋난다. 홍 후보가 출마변으로 박근혜 후보와의 파트너십을 강조한 것은 웬만한 사람이면 다 안다. 또 실질적으로 대선과 지사 선거는 상호보완에 따른 상승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터인즉 중요한 공약은 종속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조 위원장은 도청이전은 후보의 개인공약이란 말로 애써 차별화를 부각시켰다. 조 위원장의 그 말이 공식적인 입장이라면 새누리당 경남도당과 선거대책본부는 적어도 도청 마산이전에 따른 자당 도지사 후보의 공약에 반신반의하거나 궁극적으로는 현실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하는 것임이 틀림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같은 당 후보와 지역 선거본부가 그처럼 손발이 따로 노는 상황을 이해하기 어렵다. 주민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도청 이전 문제가 오로지 지사의 행정적 권한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정치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가능하다. 당 소속 도지사 후보의 중심 공약을 당 자체가 부정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을 것인즉 주민 위화감만 커졌을 뿐이지 않겠는가.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