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박완수 시장의 복귀와 함께 다시 야구장 터 선정문제를 시정 우선 과제로 여론화하려는 움직임을 드러냈다. 이유는 2016년까지 야구장을 짓겠다는 한국야구위원회와 약속 때문이라고 한다. 공사를 서둘러도 최소한 2년이 필요하므로 늦어도 내년 초까지 입지선정을 끝낸 후 착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야구장 단일사업으로 말하면 지금 당장 공정에 들어간다 해도 시간이 여유롭다 할 수 없어 시의 견해는 타당하다.
그렇지만, 야구장이 시청사 및 통합기념 상징물과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모순이다. 박 시장이 개진한 균형발전시책이 아직 유효하다면 야구장이 들어서는 지역은 청사소재지에서는 배제될 수밖에 없다. 만일 그게 마산이나 진해로 결론난다면 그곳 시민들이 절대 수용하지 않을 것이다. 현재 시의회 대결국면을 고려하면 옛 창원시 시민도 야구장을 받는 대신 청사 터를 나머지 두 곳에 양보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듯 청사가 우선순위임에도 왜 또 야구장 타령인가. 창원시는 한국야구위원회와의 약속을 핑계로 삼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대시민 신뢰성임을 모르는 것 같다. 통합 전 3개 시의회 대표의원들로 구성된 통합준비위원회는 청사입지선정에 대한 기준과 원칙을 결의한 바 있었다. 통합시의회가 그 기준을 존중하고 시가 원칙에 충실한 행정집행을 했더라면 의회 파행이나 시민 간 갈등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책임소재를 따진다면 의회가 첫 번째고 시장이 다음일 테지만 권한의 경중을 놓고 보면 오히려 시장의 책임이 더 무겁다. 통합시장으로 당선된 박 시장이 소신 있게 이끌었다면 의회나 시민들이 협력하지 않고 배길 수 있었겠는가. 새누리당 도지사 후보 경선에 성공한 홍준표 후보의 도청 마산 이전설은 그 틈새를 헤집은 초강수의 역공일 것이다. 실현성 여부를 떠나 시청사 문제로 분열된 시민감성에 호소하는 바가 컸다.
줄곧 우세를 지켜온 박 시장이 근소한 표차로 실족하는데 이 문제가 영향을 끼쳤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청사 터 선정 작업이 초대 통합시장의 피할 수 없는 숙명적 최대 과제임에 반해 그 역할이 미흡했다는 평가는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회는 아직 남았다. 비록 부임 초기의 리더십은 아니더라도 새로운 각오와 추진력으로 지역문제에 돌파구를 찾아 나서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