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통합과 함께 수립한 통합기념 3개 사업이 2년 반이 다 되도록 전혀 진척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분위기대로라면 연말은 물론 내년 초에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 점점 시민 불신이 커지고 있다. 원인 제공은 당연히 시와 의회다. 박완수 시장은 애초 지역균형발전 명분을 내세워 기념사업을 지역별로 골고루 1개씩을 균등배분, 행정통합의 의미를 되새기겠다고 밝혔지만 추진된 것은 현재 아무것도 없다.
벌써 마무리된 조사용역도 공개를 하지 않아 의구심만 더 키운다. 의회에만 그 책임을 미룬 채 단체장 역할에 있어서의 한계를 구실로 내세우고 있으나 그것은 핑계에 불과하다. 단체장이 소신을 정하고 추진력을 행사했다면 의회를 움직이고도 남을 충분한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 것이다.
통합과 관련된 사업의 의결 주체는 시의회다. 의회가 시가 계획한 사업들을 제안 설명받아 그 타당성과 예산문제를 심의한 후 의원 의결절차를 거쳐야 시행이 가능하다. 시민들이 아주 잘 알고 있듯 의회는 청사위치선정과 야구장, 기념탑으로 대별되는 통합기념 3대 사업에 대해 아직 첫걸음도 떼지 못한 채 집안싸움에 몰입돼 있다. 이제 그 이유가 청사 터를 둘러싼 의원이기주의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모르는 시민은 없다. 통합준비위원회가 결의한 우선순위 후보지 원칙이 훼손되면서 청사 위치에 관한 한 통합 전 3개시 별로 의원들이 나뉘어 지역 파당에 뛰어들었고 이 결과 의원 간 갈등이 첨예해진 나머지 얘기하는 것조차 금기시되는 지경으로 내몰린 것이다. 상황이 이와 같으니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지가 관건이 됐다.
지역 간 시민 갈등을 풀면서 의원들을 설득하고 시정 효율성을 창출해야 할 시장은 도지사 보궐선거에 도전 중이라 문제해결에 최선을 다할 입장이 아니다. 의회는 어떤가 하면 대선까지 겹쳐 정치권 눈치를 보며 표심을 자극하는 자충수를 피하려 할 것이다. 정당공천에 목을 매는 기초의원들의 어쩔 수 없는 그같은 자기선택이 지역 이익을 배반하고 실질적인 시민통합을 방해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통합무용론이나 옛날로 돌아가자는 회귀론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것은 시와 시의회가 자초한 자가당착이지 시민 탓이 아닌 것 또한 확실하다. 시와 의회가 난형난제의 모범적 답안을 내기라도 작정한 것인지 의심받을 만하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