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서 한 달만에 급선회, 본회의 마찰 예상

LNG발전소 건립을 무리하게 추진한다며 사업 승인을 거절했던 통영시의회가 불과 한 달 만에 급선회, 통영시가 제출한 이 사업 건을 승인했다.

팽팽한 찬반 대립 상황에서 사업 타당성과 추진 과정 등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당장 본회의에서부터 찬반 마찰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9월 6일 자 1면 보도

통영시의회는 17일 제145회 임시회 산업건설위원회에서 '통영 천연가스 발전소 건설사업 유치 동의안' 심사를 열고 찬성 4, 반대 1로 사업 승인을 했다. 하지만, 24일 본회의를 통과해야 최종 결정된다.

본회의 통과 후 통영시는 다음날 25일 지식경제부에 유치 의견을 낼 계획이다.

주민 동의와 의회 승인은 발전소 건립 유치에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통영시는 현재 3.5km 이내 주민들에게 약 70% 동의를 구한 상태다. 14만 통영 전체 시민은 찬반에 상관없이 이 문제를 '멀뚱멀뚱' 지켜봐야 하는 처지다.

통영시의회는 이날 임시회에서 통영 LNG발전소가 건립되면 초당 24t의 온수가 통영바다로 쏟아져 나오는 것과 이 일대 115개 굴 어장은 직·간접 피해를 입을 것 등을 전망하며 사업 자체를 우려했다.

발전소가 건립되면 환경변화와 송전탑은 통영 백방산 정상을 넘어가거나 신마산 방향 중 한 곳으로 지나가게 된다. 이런 송전탑에 따른 민원, 땅값 하락, 통영시 이미지 실추, 농수산물 생산 기반 파괴 등이 뒤따를 것이란 주장도 있었다.

의결에서 반대표를 던진 천영기(새누리당) 의원은 이 상임위에서 주민 동의 문제, 송전탑 문제, 환경, 고용 등을 집중 추궁했다.

천 의원은 먼저 통영 안정리 건립 계획인 LNG발전소를 "화력 발전소라고 부르겠다"고 말한 다음 "주민동의서는 요식행위"라며, "통영시는 건립 유치를 결정해놓고 동의를 받는 것밖에 안 된다. 발전소에 문제가 생기면 통영 전 시민의 문제지만 동의는 3.5km 주민들만 받고 있다"고 질타했다. 천 의원은 "송전탑에 대한 대책"을 따져 물었고 "현재 삼척시가 발전소 유치 때문에 시장 주민소환 절차를 밟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창출에 대해서는 황당하다는 반응이었다.

천 의원은 "28개월 공사 기간 중 20여만 명이 고용 창출되고 바다 매립에 하루에 580명이 투입된다는 자료가 설득력이 없다"고 따졌다. 주로 기계 공정인 토목공사에 하루 580명이 고용된다는 자료가 황당하다는 뜻이었다. 천 의원은 이후 통화에서 "기획총무위원회 의원들 중 반대하는 의원들이 있을 것이다. 본회의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립 예정지인 광도면 주민 ㄱ 씨는 "발전소에 대해 멋모르고 찬성한 사람도 있고 반대한 사람도 많다. 나는 죽을 때까지 조용히 고향에 살고 싶다. 나는 반대 데모하러 가겠다"고 말했다.

통영시는 의회 상임위 결정을 반기고 있다.

통영시는 임시회에서 천영기 의원 질의에 "송전탑에 대해서는 특별한 대안이 없다"고 밝혔다. 온수 배출 문제는 "시뮬레이션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영향이 있다 없다고 말하기가 어렵다. 온수 배출로 115개 어장이 있지만 집행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 가스공사 냉수가 나갔는데 지금 문제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통영시는 조선경기 불황과 타지역 케이블카 건립에 따른 통영 케이블카 경쟁력 상실 우려 등을 들며 LNG발전소를 건립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