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연구소 2캠퍼스 유치 협약에 야권·시민단체 "일방적 배제"
창원시가 통합 청사 후보지 중 하나인 진해 옛 해군교육사령부(육군대학) 터에 잇따라 교육·연구기관 유치를 약속했지만, 진해 주민들 사이에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런 흐름을 타 이 터가 청사 후보지에서 배제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지난 7월 창원시는 창원대·경상대와 진해구 여좌동 옛 교육사 터에 캠퍼스 유치에 관한 양해각서를 맺었다. 이때는 진해에서 반발이 없었다. 종합대 제2캠퍼스나 전문대 유치는 옛 진해시 시절부터 숙원사업이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재료연구소 제2캠퍼스 역시 이 터에 유치하겠다는 양해각서 체결 후 불거졌다. 지난 10일 시와 재료연구소는 김성찬 국회의원(진해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해각서를 맺었다.
대학에 이어 연구기관까지 유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단체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이 터가 청사 후보지에서 먼저 제외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진해 야권 의원들과 시민단체들은 15일 저녁 대책 회의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조만간 교육사 터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정우서(민주통합당, 태백·경화·병암·석동) 의원은 "대학 유치는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었지만, 재료연구소 유치는 사전에 주민들 의견 수렴이나 정보 없이 이뤄졌다"며 "청사 터가 결정되고 다른 대안으로 내놓으면 모르겠지만, 지금은 다른 기관을 유치한다는 것은 오히려 청사 후보에서 배제하는 차원으로밖에 안 보인다"고 꼬집었다.
이춘모 진해시민포럼 집행위원장은 "창원시 전체로 봐선 재료연구소 유치가 긍정적이지만, 진해에서는 교육사 터는 상징성이 있다. 청사 후보지인데, 다른 기관을 유치하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앞으로 주민들 의사를 물어보는 쪽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료연구소 인터넷 기사에는 "진해 출신 김성찬 국회의원이 저렇게 자랑스럽게 든 양해각서는 바로 진해시민을 무시하고 주민들을 패배주의에 빠지게 하는 처사" 등 비판 댓글이 달리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기획예산담당관실 관계자는 "대학 유치는 시청, 상징물, 새 야구장 터를 남겨두고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정해졌다. 법적으로도 청사는 2만 평 이상 지을 수 없게 돼 있다. 미리 여러 활용 방안을 생각하고 추진하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이달 초 재료연구소가 신축 터를 경남에서 확보 못 해 부산시로 옮겨갈 수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창원시도 급해졌다. 시 기업사랑과 관계자는 "국책연구기관을 뺏기는 문제가 돼 교육사 터로 촉박하게 결정이 됐다"고 전했다.
두 양해각서에는 구체적인 규모를 명시하지 않았다. 단, 전체 교육사 터 28만 1051㎡(8만 5000평 남짓) 가운데 경상대·창원대 캠퍼스는 6만 6000여 ㎡(2만 평 정도)에서 검토하고, 재료연구소는 약 10만 ㎡(3만 평)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창원대는 해양·물류 특화 캠퍼스, 2015년 대학병원 건립을 앞둔 경상대는 의학·보건계열 캠퍼스 조성이 예상된다. 재료연구소는 대형 국가연구사업 시설 구축 예정이다.
한편, 시는 국방부로부터 2014년 말 이 터 소유권을 넘겨받는다. 이 터는 해방 후 육군포병학교와 육군사관학교, 육군대학으로 쓰이다 1996~2007년 해군 교육사로 활용됐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