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창원시장이 통합시 출범과 취임 3년째의 시정 최고 관심사로 3대 현안사업을 들고, 그 중 최대 관건이 청사문제 해결에 있음을 밝힌 것은 올바른 인식이다. 야구장과 통합상징물을 포함한 3대 현안사업은 지역균형발전을 꾀한다는 목표 아래 통합 전의 3개 시에 한 개씩 고르게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 추진돼 온 것이다. 그러나 청사문제에 대한 통합준비위원회의 결의가 변질하면서 답보상태에 빠져 버렸고 대신에 야구장 적지로 창원종합운동장이 가장 많은 점수를 받았다는 꽤 신뢰성 있는 소문이 퍼지면서 현안사업별 균형배치 시책이 난조를 보이고 있음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 됐다.

통합으로 지역별 시민갈등이 점증된 통합시의 행정 책임자로서 그 갈등의 정체가 무엇이며 그것을 순화시킬 수 있는 정치행위를 어디서부터 펴야 할 것인가를 통찰하지 못한대서야 말이 아니다. 사실 출범 후 지금까지 박 시장의 태도가 명쾌하지 못했음을 많은 시민이 어렴풋하게나마 깨닫고 있을 것이다.

청사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현 임시청사의 리모델링을 포함함으로써 통준위가 결정한 후보지 우선순위를 무력화시키는데 일조했다는 비판을 자초한 바 있다.

더구나 의회가 지역 패권주의로 서로 대립하는 빌미를 제공함으로써 의회 스스로 문제 해결에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런데도 시장은 핵심쟁점으로 청사 당위성을 환기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의회에 책임을 떠넘기는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알렸을 뿐이다.

청사문제는 당연히 의회의 몫이다. 그러나 그 문제에 대한 진짜 문제는 의원들이 편을 갈라 서로 자기들 옛 구역으로 가져가고자 진흙탕 싸움도 마다하지 않는 데 있는 것이다. 시장의 대 의회 시각이 맞다고는 해도 의회는 그것을 해결할 자율적 민주성을 상실한 지 오래됐다. 다시 여론조사를 하고 공청회를 연다 해도 시민합의는 기대하기 어렵다.

그만큼 이는 뜨거운 감자다. 이 난에서 거듭 촉구해 왔거니와 통합 직전에 3개시 의회 대표의원들이 모여 합의한 '통준위 원칙'만이 모든 말썽을 잠재울 수 있다는 견해를 반박할 명분은 있을 수 없다. 시장도 그 규범 속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도모할 때가 이미 지났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