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순호 의원 제안…"특위서 결과 만들기 쉽지 않아" 주장도
창원시의회가 이번에는 '통합 시청사' 갈등 해결에 물꼬를 틀 수 있을까. 지난해 시의회 파행과 삭발식 등을 보여주며 극한 대립으로 치닫던 마산·창원·진해지역 의원들이 다시 청사 갈등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 제안을 받게 됐다.
통합진보당 송순호(내서읍) 의원이 시의회 특별위원회를 꾸리자고 제안한 것이다.
청사 해결 기구에 대한 제안이 나온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말 김문웅(새누리당·상남,사파동) 의원을 비롯한 창원지역 의원 21명이 '통합 창원시 청사 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의 건'을 제출한 바 있다. 이는 마산·진해지역 의원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을 낳으며 철회됐다.
또, 올 초 창원시가 지역 원로들과 간담회에 이어 '통합 청사 소재지 선정 TF'를 만들고, 시의회와 협의체 구성도 추진했다. 하지만, 또 일부 지역 의원들의 반발을 불러오면서 물거품이 됐다.
이런 시의회가 다시 특위 구성을 고민하게 됐다. 송순호 의원은 지난 7일 임시회 시정 질문에서 "집행부는 5~6월 야구장 입지 선정을 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야구장 입지가 먼저 선정이 돼버리면 청사 문제가 야구장의 종속변수로 전락해 버릴 것"이라며 "7월 임시회 때까지 결정을 해야 하고, 의회에 '창원시 통합 청사 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 의원은 "특별위원회는 최장 60일, 추가로 30일 더 할 수 있다. 하지만, 1차 특위 활동은 45일로 못박아 결과물을 도출해야 한다"고 했다.
의원들은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현 상황에 과연 특위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물음표를 달고 있다. 진해지역 새누리당 한 의원은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노력하는 것은 이전부터 필요했다. 본회의장에서 대립하는 형태로는 답이 보이지 않는다"면서도 "지역 의원들이 각자 입장이 있다 보니 특위에서 결과물을 만들어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지역 새누리당 한 의원은 "이전에 창원지역 의원들이 지역별로 3명씩 90일간 특위를 구성하자고 했지만, 결론이 나오겠느냐는 반응이 많았다. 그 일을 다시 추진하자는 것인데, 구심점이 될 방안이 나올지 의문이다. 그때와 지금이 크게 다른 상황은 아니다"고 했다.
야권 의원들도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한 야권 의원은 "특위가 구성돼도 실효성이 의문이다. 특위에서 다시 대립하면, 통합준비위원회 전철을 밟는 것밖에 안 된다. 모두 공감할 안을 낼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우선, 임시회 소집은 쉬워 보인다. 야권 의원들로 꾸려진 민주의정협의회 의원이 19명으로 임시회 소집 요건(55명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 요구·15일 이내 소집)을 충족한다. 이후 특위 구성 건은 재적의원 5분의 1 이상 또는 의원 10명 이상 연서로 발의할 수 있다.
내달 5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제1차 정례회는 행정사무감사도 있어 특위 구성 건을 다루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르면 이달 말 임시회가 열릴 수 있다. 의원들은 16일부터 18일까지 충남 태안 안면도 등에서 진행되는 의정 연찬회에서 특위 구성과 시의장 선거 등을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