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창원시장이 드디어 통합시청사 숙제를 풀기 위한 해결사 역을 자임하고 나선 것 같다.

3개 지역별 시민 원로들과 간담회 자리를 주선하고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여론의 동향과 민심의 소재를 파악하는 작업에 나선 것이 그것이다. 결론부터 추론컨대 그 계획은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통합청사와 관련해 시의회가 파탄 나다시피 한 이유는 의원들이 지역할거주의 포로가 돼 대화와 타협으로 대변되는 의회의 기본 기능을 망각해버렸기 때문이다. 그런 의회 파벌은 청사유치라는 통합시 최고의 중심 발전 축을 놓고 의원들이 3개 선출 지역별로 연대를 형성함으로써 빚어진 것이며 아울러 유권자 표심과도 끈끈한 유대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지역 원로들은 주민 눈치를 볼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지역 이익을 대변하는 입장에선 의원들과 별로 다를 것이 없다. 첫 간담회장에 초청된 20여 명 마산 지역 원로시민들의 주된 관점 역시 청사에 관한 한 구 창원 독점화를 경계했음은 자연스런 흐름이다. 진해지역은 성향을 딱 잘라 예측할 수는 없으나 재분할까지 공공연하게 외치는 창원지역 원로들은 마산과는 정반대 의견을 개진할 게 틀림없다. 사정이 그럴진대 지역원로들의 입에서 공동선에 기초한 화합적 타개책이 도출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시장이 의회와 공동협의기구 설치를 제안하기 위한 전단계 수순으로 시민 원로들과의 회동을 준비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솔직히 시장이 청사 문제에 직접 관여하는 것은 주민 자율의 통합취지와는 어긋난다. 여론조사나 주민 투표 등의 방법론도 의회나 시민 기구의 역할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뿐이다.

청사 문제가 이처럼 의회를 찢어놓고 시민 갈등을 첨예하게 만든 이유는 간단하다. 통합의회가 전의 통합준비위원회의 결정사항을 무력화시킨 데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해 통준위가 세운 원칙을 휴짓조각으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다. 그 원칙이 훼손되면서 의회가 이익집단으로 갈라져 대립함으로써 혼돈에 빠져버린 것이다. 따라서 역순으로 가면 된다. 즉 원칙의 복구가 문제 해결의 지름길이다. 그 외에 어떤 다른 선의가 있다면 모름지기 공론화를 사양치 않아야 한다. 의회의 이성회복이 시급하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