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단 내용·시기 등 구체적 내용은 회피…의회 입장 정리 강조

박완수 시장은 14일 정례브리핑 자리에서 '통합청사 갈등'과 관련해 이례적으로 담화문을 준비했다.

시의회·시민을 향한 담화문 내용은 '(두 개 안을 모두 통과시킨) 창원시의회는 다시 명확한 의사를 대외적으로 표시할 것', '지역 정치인·정당 자제 요청', '시민적 합의 중요성', '특별위원회 설치', '시민 화합·협력 당부', '시장으로서 역할 강조' 여섯 가지로 요약됐다.

하지만, 담화문 발표 이후 이어진 기자들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좀 더 깊은 속내를 드러냈다.

이날 자리에서 박 시장은 '시장의 역할'을 어필하면서도 동시에 여전히 '시의회에 공'을 던지는 모양새를 취했다.

우선 시장의 역할을 비중 있게 거론했는데 "갈등이 장기화되고, 미래 발전에 걸림돌이 되면 시장으로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는 발언은 주목할 만했다. 통합청사 문제에 대해 그동안 "시의회가 결정할 문제로 집행부가 할 수 있는 부분은 많지 않다"며 한발 피해 있던 것과 비교하면 진일보한 것이다. 현재의 시의회 갈등을 더 보고만 있을 수 없다는 의지로 비쳤다.

하지만, 결단의 구체적인 내용과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했다. 박 시장은 "지금은 말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했고, 결단에 주민투표가 해당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도 "모든 가능성을 두고 판단해야 한다"며 두루뭉술하게 넘겼다. '시장 역할을 하겠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은 것이다.

이는 최근 갈등 상황에서 "결국 시장이 풀어야 할 문제인데 뒷짐 지고 있다"는 일각의 비판 목소리에 대해 일정 부분 제스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은 '의회의 명확한 입장 다시 도출', '특별위원회 설치'를 촉구했는데, 이는 곧 의회를 압박함과 동시에 공을 다시 넘기는 대목이기도 했다.

또한, 통합청사·새 야구장을 동일선상에 놓는 부분에 대해서는 "균형발전·야구장 (본연의) 역할, 두가지 측면을 모두 판단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견해를 밝혔는데, 기존의 '빅3 사업에 대한 정치적 판단이 가능하다'는 견해에 비춰보면 차이가 있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