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경남도의회를 독점하려 한다는 지극히 우려스러운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이는 한 해 전 9대 도의회 개원 초 의장단 선출 과정에서 드러났던 문제이기도 한데 또다시 재연되고 있다면 도정에 차질이 생길 우려와 함께 도민들에게 지극히 소모적인 갈등을 양산하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경남도의회는 대화와 타협이라는 의회 본연의 모습을 보이려 노력해 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민감한 정치적 사안이라 할 수 있는 무상급식 예산안에 대한 일부 삭감 통과 등 조화와 도민의 정쟁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감안한 의정활동을 펼쳤던 게 사실이다. 민주주의가 다수결이 원칙이지만 소수자의 의견을 존중하는 운용의 묘를 다할 때 꽃이 필 수 있는 것처럼 이것이 옳은 의정활동이고 의회의 본분이다.

그런데 불과 일 년 만에 경남도의회가 또다시 도민 정서를 염려케 한다면 그 속사정을 떠나서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추경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일부 한나라당 도의원들이 당론에 따라 조직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나 소수 정당 의원들의 의견을 묵살하는 모양새를 띠는 것에서 도민들은 일당독점으로 생길 수 있는 폐해를 염려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예결특위의 구성 비율을 보면 총 15명 중 12명이 한나라당 소속이다. 제2 교섭단체인 민주개혁연대 소속의원은 1명뿐이다. 예결특위가 균형을 맞추었던 지난해에 비해 너무 비정상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렇게 된 원인은 민주개혁연대의 결속력이 개원 초기만 못한데 있다. 도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함에 대해서는 따가운 비판을 받아야 마땅하다.

도의회의 예결위 구성은 도의 살림살이를 다루는 중요성만큼 서로 다른 의견이 충분히 토론되어야 하고 균형적인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민주개혁연대의 결속력 부족을 이유로 한나라당이 독주를 해서도 안 된다고 본다. 한나라당 소속 도의원들이 당론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정당인으로서 지극히 당연하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민들은 한나라당론과는 별개인 다양한 의견을 갖고 있다. 이를 적절하게 조종하여 소수자들이 정치적 소외를 받지 않게 하고 도정이 도민 전체의 지지 속에 이끌어지게 하려면 소수정당 소속의원들도 같이 참여해야 하는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