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궐선거에서 여당이 참패를 했다지만 김해 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태호 후보가 당선된 것은 그중의 이변으로 기록될만하다. 선거전 여론조사에서 줄곧 뒤처졌던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 후광을 뿌리치는 저력을 과시하면서 화려한 정치적 재기에 성공함으로써 한나라당 텃밭으로서의 지역 특유의 정치적 정서까지 탈환하는 결과물을 낳았다. 아주 근소한 차이로 신승한 탓일까. 김 당선자는 직후 소감의 첫마디를 이렇게 장식했다. "국민 마음을 못 얻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민심의 소중함을 깨쳤다는 뜻일 것이다. 이번 선거가 첫 경험은 아니다. 약관의 나이에 거창군수에 출마해 당선됐고 도지사 선거도 두 번이나 치러 민심의 향방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알고 있을 터이지만 새삼스레 그 부분을 강조한 것이다. 국무총리 낙마와 관련한 부적절한 처신이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시켰으며 그로 말미암은 비판적 여론이 이번 보궐선거를 어렵게 만든 원인이 됐음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인지 모르겠다. 그러나 당도 정부도 더 정신 차려야 한다고 첨언하는 것을 보면 이번 선거를 통해 민심이반의 현주소를 파악했다는 고백이 담겼을 수 있다.

비록 이기기는 했지만 그 차이란 종이 한 장에 불과하다. 다른 선거에서 이처럼 힘든 게임을 해보지 않은 김 당선자로서는 유권자, 즉 국민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뼈저리게 체험하는 기회가 됐을 줄 안다. 하지만, 그것 이상으로 마음에 새겨야 할 것은 반대표에 대한 진지한 자기성찰이라고 할 것이다.

거의 절반에 가까운 투표자가 그와 그가 몸담은 당을 지지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압도적 지지를 얻어 정치 경력을 쌓아온 김 당선자로선 인정하기 싫은 현실일지 모르나 그가 만일 이 사실을 전제로 민심의 중요성을 당선 첫 소감으로 내놓은 것이라면 그 방향은 올바른 것이다. 여론이 어디에 있는지 모른 채 밀어붙이기 하듯 하는 일방적 정책 사업이 갈등의 골을 깊게 해왔음은 자명하다. 대표적인 것이 4대강 사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 당선자는 지사 시절 낙동강 운하전도사로 강성을 발휘해 전력이 있거니와 이제 해당지역의 국회의원으로서 변화된 태도를 보일지 주목해보고자 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