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4월 11일은 김주열이 마산 앞바다에서 시체로 건져지던 날이다.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발견되면서 2차 마산의거가 일어났고, 마침내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51년 전 마산 중앙부두 앞바다에 떠오른 시신 오른쪽 눈에는 길이 20㎝의 미제 최루탄이 깊이 박혀 있었다. 시민들에게 경찰의 광포함과 시신 유기의 실체가 알려지면서 사태는 급변했다. 정권타도를 외치는 분노가 들불처럼 번지며 4·19로 이어졌고 결국 이승만은 4월 26일 물러났다. 김주열의 주검으로 독재정권이 끝나고 4월 혁명의 발원지인 마산만은 '역사의 바다'가 됐다.

그런데 이 역사의 바다가 오래전부터 매립의 논쟁이 이어져 왔다. 최근 국토해양부와 창원시는 김주열의 주검 현장을 포함하여 바다를 축소 매립한다는 발표를 하였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반발하며 나섰고, 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도 시신 인양지가 매립되지 않도록 바란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엊그제 추모사업회 간부들은 배를 타고 들어가 도서·영상물을 담은 함을 바다에 넣었다. 함을 수장한 곳은 51년 전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발견된 그 위치이다.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에서 '김주열 기록물'을 바다에 봉정한 것도 역사의 현장을 보존하면서 4월 혁명의 발원지라는 사실을 길이 알리기 위함일 것이다.

마산만 매립을 통하여 조성되는 해양신도시 사업 속에 역사적 현장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매립사업도 애초 도시 팽창에 의한 요구에서 계획된 것이 아니라 과도한 물동량 산정과 부풀린 경제유발 효과가 만들어 낸 졸작이다. 이러한 잘못된 정책결정의 폐해가 역사적 현장뿐만 아니라 기존 도시가 공동화돼 가는 상황에서 신도시 건설은 기존 도시에 사는 주민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다. 통합창원시 행정은 매립, 갈등과 소외감을 낳는 신도시 건설이 아닌 기존 도심의 문화와 상권을 활성화하는 마산 르네상스, 도시재생을 정책의 중심에 놓아야 할 때이다. 지난해에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를 '경상남도 기념물(문화재)'로 가지정해 놓았다. 다음 달이면 예정된 문화재 지정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때에 역사적 현장을 보존하기 위해서라도 시민들이 반대하는 매립을 해서는 안 된다. 꼭 가포신항 건설로 생기는 준설토 처리가 어렵다면 다른 대안을 새롭게 검토하는 끝장 토론이라도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