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차 항만기본계획 부산신항 설명회 무산…주민 성토장으로 변해

제3차 항만기본계획 부산항 신항 설명회가 주민 반발로 무산됐다.

24일 오후 3시 부산항만공사 신항사업소에서 마련된 제3차 항만기본계획 부산항 사전환경성 검토 설명회는 주민의 격렬한 반발 속에 열리지 못했다.

부산항 신항 설명회장은 주민의 성토장이었다. 주민은 "국가발전 저해 안 한다. 절차를 정당히 밟아라", "설명회 듣지 말고 나가자. 들으면 다 합의했다고 할 것 아니겠나", "의창수협 진해수협 땅 5만 평(16만 5000여㎡) 아직도 보상 못 받고 있다. 그것부터 해결해라" 등의 말이 쏟아졌다.

24일 오후 3시 부산항만공사 신항사업소에서 마련된 제3차 항만기본계획 부산항 사전환경성 검토 설명회를 찾은 주민이 극렬히 반발하고 있다. /남석형 기자

설명회장을 찾은 정판용 도의회 신항권리찾기 특위 위원장은 "그동안 준설토 투기장으로 삶의 터전을 다 빼앗겼다. 1년에 5000만 원 벌던 어민이 신항만이 들어선 이후 1000만 원도 못 번다. 국토해양부는 어민 생계보장은 하지 않고 국책사업만 밀어붙이고 있다"며 "이뿐만 아니라 이번 3차 계획에 목재부두시설이 들어서는 것도 문제다. 부산에서 밀려 나온 혐오시설을 경남에 하려는 것"이라고 말해 주민의 박수를 받았다.

박해영 창원시의회 균형발전위원장은 "어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나서 주민설명회를 하는 게 맞다. 오늘 이 자리는 접어야 한다"고 했다.

박철하 창원시의원도 "진해 바다 자체가 다 사라진다. 계획 자체를 철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주민이 그런 말을 하면 모르지만, 시의원이 어떻게 그렇게 말하나"라며 신경전을 펼쳤다.

이 관계자는 "기존 보상 문제를 비롯해 종합적인 대책이 나오도록 노력하겠다. 이번 기본 계획은 당장 하는 것이 아니고 아직 시간이 많다. 지금은 보상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다. 착공 전까지 충분히 협의하겠다"며 설명회 개최 협조를 요구했다.

하지만, 주민은 설명회장 의자를 모두 치우며 강경하게 맞서 결국 설명회는 무산됐다.

한편, 제3차 항만기본계획은 준설토 투기장 확대, 목재 부두 설치 등의 내용이 포함돼 어업 피해를 우려하는 진해지역 어민들이 극렬히 반대하고 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