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도시재생사업단 창원 노산·오동동 방문

옛 마산의 원도심을 되살리는 작업에 탄력이 붙고 있다. 지난해 말 창원시가 전주시와 함께 정부의 도시재생 R&D(Research and Development·연구개발) 테스트베드(Test-Bed·시범도시)로 선정된 이후 국토해양부 도시재생사업단이 처음으로 사업 지구인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동과 창동·오동동 현장을 찾았다.

도시재생 시범도시는 지역의 힘으로 대안적 도시재생 모델을 세우려는 취지로 추진되고 있다. 건물 등을 전면 철거하고 다시 정비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 차원에서 연구된 다양한 기법을 실현해보자는 것이다. 창원시는 국비 등 다양한 경로로 사업비를 확보하고 지역민의 공감과 참여도 끌어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도시재생사업단 28명은 12일 오후 노산동, 창동·오동동을 차례로 둘러봤다. 김성완 도시재생사업단장, 창원지역 총괄 책임자인 황희연 충북대 교수, 현장 책임자로 선정된 김영 경상대 교수 등을 비롯한 연구진이 참석했다. 또, 마산르네상스추진단 허정도 단장, 마산도시재생위원회 서익진·조용식 공동대표, 박종근 창동통합상가상인회장, 노산동 도시재생 주민협의회 등도 함께했다.

도시재생사업단 테스트베드 연구진이 12일 창원시 마산지역을 방문했다. 김성완 단장과 연구진이 창원시 마산합포구 노산동 일대를 지역주민들 그리고 시 관계자 등과 함께 둘러보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김성완 단장은 "사전에 연구진이 모여 논의를 했었지만, 현장 여건을 몰라 더는 진전이 안 됐다. 직접 눈으로 보고 상황을 파악하고, 어떤 재생 기법과 계획을 적용할지 고민하려 한다"고 밝혔다.

사업지구에서 골목길을 걸으며 현장을 본 뒤 창원지역 총괄 책임자인 황희연 교수는 "그동안 전반적으로 하드웨어 중심의 많은 사업이 진행돼 온 것 같다. 소프트웨어를 접목한다면, 사업이 효과를 볼 수 있겠다"면서 "생각 이상으로 쇠퇴 현상이 심각하다. 단편적 사업으로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고, 창원시의 경제 회생과 같은 더 큰 정책이 따라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앞서 오후 1시 30분 마산문학관에서 시 도시재생과는 정부에 신청했던 사업 내용을 발표했다. 사업 지역 규모는 노후 주거지구인 노산동(14만 8720㎡)과 쇠퇴 상가지구인 창동·오동동(14만 4000㎡)을 포함해 모두 54만 7600㎡. 노산동은 1213가구 2777명이 살지만, 집들의 환경이 열악하다. 창동과 오동동은 1549개 점포 가운데 절반 이상이 빈 채로 방치돼 있다.

따라서 시는 창동·오동동은 빈 점포를 재활용해 교감을 나누는 인프라와 오픈스페이스 등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노산동은 마을 공동체를 보존하면서 원주민이 재정착하는 이른바 '수복형 주거지 재생'과 순환용 주택을 공급하거나 주민 공동 시설 등 지역 커뮤니티 거점을 마련해 주택 개량을 지원하는 '거점 확산형 주거 환경 개선' 등을 계획하고 있다.

이 지역 주변에서 함께 이뤄지는 워터프런트(Water Front·수변공간), 교방동 생태하천, 임항선 그린웨이, 불종로 광장형 테마거리, 빈 점포와 골목길 활용 특화사업, 창동 공용주차장 등 여러 사업으로 시너지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를 걸고 있다.

시와 사업단은 오는 2월 사업 기간과 규모 등에 관한 업무 협약을 맺고 정식 활동에 들어간다. 이후 사업단은 크게 쇠퇴 상가지구 팀과 노후 주거지구 팀으로 나뉘어 재생 기법 개발과 적용 등의 활동을 하고, 물·자원·에너지 순환이나 낡은 건물 재활용 개선 기술 업무를 맡는 팀도 꾸려져 현장 파견 업무를 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