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옛 시민버스를 대체할 시내버스 노선업체 선정 과정을 놓고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옛 시민버스 직원과 가족 10여 명이 22일 오전 시청 시장실 앞에서 대운교통이 사업자로 선정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항의했다.
옛 시민버스 전 직원 한 사람은 요구사항에 대해 "대운교통이 3개 업체로 신청한 것은 문제가 있다. 창원시가 정보공개를 해서 의문점을 풀면 된다"며 "조합원들이 못 받은 퇴직금과 임금이 50억 원인데 25억 원을 주겠다는 업체가 선정됐다면 절반이라도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옛 시민버스노조 조합원 118명 중 대부분이 대운교통에 취업을 하거나 다른 길을 찾아 나섰다. 이에 대해 이날 시장실에 항의를 하러 온 한 사람은 "생계 때문에 간 것이고 나머지는 끝까지 의혹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70명은 대운교통으로 자리를 옮기고, 10명은 창원시 제안으로 내년에 증차할 장애인 콜택시 운전기사로 갈 계획이다. 또 재취업하지 않은 이들에게는 대운교통으로부터 300만 원 위로금을 받는 방안도 제안됐다. 정차원 옛 시민버스노조 위원장은 "차고지와 차량 처분 절차가 진행 중인데 체불임금을 얼마라도 찾을 수 있게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창원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시로서는 어떻게 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표세호 기자
po32dong@idomin.com
정치, 행정 분야를 맡고 있습니다.경남도부터 18개 시군, 그리고 의회. 서울 청와대와 국회, 그리고 각 정당을 담당하는 기자들을 총괄합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