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낙동강 폐기물 보고 누락 등 사건으로 인해 김두관 경남도지사를 일러 '물두관'이라 부르며 그의 조직 장악력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가 장악해야 하는 조직이 어떤 조직인가. 지난 15년간 한나라당이 경남지사 자리를 독식했으니 도 공무원들의 성향은 물어보지 않아도 너무도 뻔한 일이다.
그뿐인가. 야권 단일후보로 나서 민심의 힘으로 도지사에 당선되었지만 한나라당이 대부분인 지역 국회의원, 도의회, 기초단체장들에 겹겹이 둘러싸여 있다. 소신대로 무슨 일을 해보려고 해도 여기저기서 제동이 걸리기 마련이다.
특히 도의회와는 시작부터 계속 삐걱거리더니 이번에는 김 지사의 정치 철학을 담은 행정조직 개편안에 대해 시행 시기를 내년 1월로 연기하는 수정안 가결로 발목을 잡았다. 상임위에서 논란 끝에 통과된 사안을 본회의 도중에 한나라당 도의원끼리 '단합회의'까지 하면서 조직개편안 시행에 제동을 건 것이다.
한나라당 도의원들도 신임 도지사의 정치철학을 뒷받침할 새로운 조직 개편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을 표했다. 상임위에서도 제대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는 대승적 판단을 받아들이는 데 동의했다. 그러면서도 막상 본회의에서는 논란이 된 명칭과 기구는 그대로 놔둔 채 행정사무감사와 예산안 심사가 차질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조직개편 시기를 내년으로 미루고야 말았다.
경남도는 조직개편안이 도의회에서 통과되면 직제 개편과 인사 등을 빠른 시일 내에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새 조직을 통해 지역균형과 복지확대 등 도정을 역점적으로 추진할 방침이었다. 그런데 인사와 예산작업이 내년 초까지 미뤄지면서 앞으로 두 달여간 공무원들의 동요와 더불어 도정 운영이 혼란과 혼선에 빠지게 되었고, 그로 인해 도민들의 피해도 커질 것이 염려된다.
조직개편 시기가 적절치 못하고 집행부의 사전 협의가 부족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해도 누구보다 도민들의 뜻을 반영하고 도의 발전을 위해 앞장서야 할 도의원들이 아닌가.
행정조직 개편이 연기되면서 빚어지게 될 도정 차질과 도민들의 피해는 도의원으로서 나몰라라 해도 되는 일인가 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