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화·악용 탓 뉴스 생태계 황폐해져
포털·플랫폼의 정화 책임 법제화부터

최근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뉴스 관련 이슈를 보면 뉴스 생태계가 점차 황폐화·사막화되는 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미 구독 기반 뉴스 소비가 사라지고 뉴스 무료화 현상과 이를 악용하는 포털이 나타나면서 예견된 일이기도 합니다.

그 첫 번째 사례로 7월 4일 KBS는 '포털의 검색제휴 언론사 제도'를 악용하는 사이비 언론인을 고발했습니다. 경제지 기자 출신 언론인은 부인과 부인 동생을 대표로 내세워 4개 검색제휴 언론사를 운영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들은 2015년 이후 11개 검색제휴 인터넷 언론사를 운영했고 이미 7개 언론사는 현금을 받고 매매한 것으로 보도했습니다. 보도 내용을 살펴보면 광고성 기사 비율이 높고 자체 기사비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국 취재 없이 홍보성 보도자료를 받아 기사로 내보내는 '뉴스의 광고화 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 하나 재미있지만 웃지 못 할 기사는 6월 14일 한국경제신문이 처음 보도한 '가나 인육 케밥 사건'입니다. 가장 관심을 끈 기사는 머니투데이의 "8년간 '인육 케밥 판매' 30대녀 체포…아이 납치, 남성 유혹 후 살해"였습니다. 이 기사는 보도 당일 기준 포털 다음에서 30대 여성이 많이 본 뉴스 1위, 30대 남성이 많이 본 뉴스 4위에 올랐습니다. 12개 주요 언론사가 같은 기사를 내보냈지만 결과적으로 오보였습니다. 심지어 주요 언론사에서조차 '베끼기 보도 또는 미확인 보도가 빈번하게 나타나는 상황'은 뉴스 무료화와 기사 클릭수를 위한 무한 경쟁과 무관치 않습니다.

'뉴스 생태계 황폐화와 사막화 현상'은 식수원 주변 오염 때문에 먹는 물과 오염된 물이 섞여 있는 상황처럼 심각합니다. 뉴스 이용자 각자가 광고와 가짜뉴스를 가려낼 수 없듯이 앞으로는 뉴스 생태계 정화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언론사에서 포털로 연결되는 모든 뉴스에 링크세를 부과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생산비용이 들어간 뉴스를 무료로 이용하는 상황은 결과적으로 시민에게 저렴한 불량 음식을 제공하는 것과 같습니다.

두 번째로 뉴스가 유통되는 포털 등 플랫폼에 뉴스 독창성과 광고 독립성 등 뉴스 가치를 평가할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요구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시민에게 뉴스 리뷰에 참여하고 구독하도록 요구하는 정책도 필요합니다. 21세기 들어 발로 뛰는 취재가 조롱받는 시대에 뉴스 가치를 재확립하기 위해 광고에 기생하는 언론, 발로 취재하지 않는 언론, 독자를 경시하는 언론을 퇴출할 시스템을 고민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출발은 시민의 힘이며, 유튜브 생태계처럼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 유통망이 공생하는 정책을 촉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룡이 되어 전통 미디어와 소규모 언론사 희생 위에서 책임을 방기하는 포털과 플랫폼에 뉴스 생태계 상생과 정수장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법제화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