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재계 입김에 개서 서둘러…전용 부두도 없어 역할할지 우려
지역 정치인들 입김에 서둘렀던 탓일까. 몇 개월 걸린다는 개서 준비를 한 달 만에 끝내고 문을 연 창원해양경찰서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났다.
사무실로 이용할 수 없는 곳을 창고로 허가받아 임시 사무실로 사용해 편법을 동원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고, 필수적인 전용부두조차 갖추지 못했다.
범한산업㈜ 제2사옥을 용도 변경한 마산회원구 봉암동의 현 임시청사는 공장용도를 제1종근린생활시설(지상 1~3층)과 창고시설(지상 4~6층)로 허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용부두를 갖추지 못한 해양경찰서로 출범하면서 긴급 상황 발생 때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우려도 낳고 있다.
왜 그렇게 서둘렀을까.
창원해양경찰서 요구는 도내 경제인과 정치인들이 시작했다. 지난 7월 창원상공회의소 최충경 회장과 창원시의회 배종천 의장이 해양경찰청 이강덕 청장에게 창원해양경찰서 신설 건의서를 전달했고, 지난 8월에는 경남도의회 김오영 의장이 창원해양경찰서 신설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도의원 20여 명은 결의대회를 했다.
결국, 지난 11월 28일 창원해양경찰서 신설을 담은 직제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고, 지난달 4일 직제가 개편돼 업무가 시작됐다. 박세영 서장 등 경찰관 200여 명이 발령을 받았다. 이후 개서식은 23일 만인 12월 27일 진행됐다. 당시 경남도의회 김오영 의장과 박완수 창원시장, 창원상공회의소 최충경 회장 등은 개서식에서 창원해양경찰서 출범을 반겼다.
청사에 대해 창원해양경찰서 관계자는 "현 청사를 관공서 이용 가능한 용도로 변경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약 한 달 정도 소요된다"고 했다. 부두에 대해서는 "마산지방해양항만청과 협의가 마무리돼 올해 하반기 가포신항에 전용부두를 마련한다"고 했다.
창원해양경찰서 관계자는 "수시 직제로 경찰서가 문을 열면서 준비 기간이 짧았다. 또 그동안 지역 요구가 컸기 때문에 마냥 미룰 수 없었다"며 "임시청사에서 업무를 차질없이 진행하고 전용부두 확보와 신청사 부지 선정 등 신축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