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최대 난제인 통합시청사 문제 해결 최선책으로 통합준비위원회가 의결한 기본 방침을 재확인한 것은 올바른 태도다. 통준위가 정한 청사 소재지 결정 방식은 마산종합운동장과 진해육군대학 터를 선 순위로 하되 차 순위로 의창구 39사단 터를 복수 후보지로 넣은 것이다. 그러나 통합 후 시의회는 지역별 의원 이기주의에 휘둘려 그 원칙을 무력화함으로써 2년 반이 된 지금까지 갈등과 반목만 거듭해 왔지 않았는가. 시 당국도 그동안 어떤 역할도 하지 않은 채 눈치보기만 거듭해 절반의 책임을 회피해 왔거니와 이제 비로소 제 몫을 찾고자 함이니 많이 늦었긴 하나 제대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우선 창원시가 의회의 무원칙과는 달리 통준위가 정한 소재지 결정방식을 존중하고 그것을 조례로 제정토록 촉구할 계획이라니 시 차원에서 하나의 기준선이 제시된 셈이라고 할 것이다. 그 효과만 해도 청사문제가 진일보했다고 보아 틀리지 않다. 다만, 의회가 동조할 것이냐가 관건이다. 조례 제정권이 의회에 있으므로 지역파당으로 등 돌리고 앉은 의원들이 지금까지 분란의 핵심문제를 조례로 풀어나가자는데 동의한다는 보장이 없다. 당시 통준위에서 활동했던 의원들마저도 정한 원칙을 지키지 않고 이익주의로 맞서는 마당이니 좋은 결말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것이 실정이다. 창원시도 그 정도는 알고 있을 터인즉 조례가 불발되면 또 의회에 책임을 전가하는 가장 손쉬운 면피 작전으로 만족할지도 모를 일이다.

의회가 대타협을 외면하고 시 당국이 일회성 행사에 치우쳐 버린다면 청사문제는 계속 표류하고 3개시 통합의 순수성은 누더기가 될 것이다. 그러면 청사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은 더욱 깊어지면서 통합자체에 대한 시민 이질감만 커질 우려가 크다.

적어도 청사문제에 관한 한 의회는 신뢰할 수 없는 집합체다. 그동안의 학습효과에서 드러난 부정할 수 없는 경험법칙이 잘 말해 준다. 논리나 원칙, 그리고 규칙의 공정성이 거기에는 실재하지 않는다는 걸 이미 수차례 확인시켜주었다. 이처럼 의회를 믿을 수 없기 때문에 창원시가 모처럼 시민 여론을 반영하는 결단을 내린 이상 의회가 조례 제정을 거부하면 독자적인 추진 방향을 세워 밀고 나가야 할 것이다. 같은 선출직인 시장에게 주어진 권한의 범위 안에서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함으로써 소기의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