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물생명연대 "해양신도시·방재언덕 재검토 해야"

성동산업(주) 마산조선소 앞 바다 매립계획이 취소되면서 현재 추진 중이거나 계획된 마산만 매립계획의 전면 재검토 요구가 나왔다.

성동산업의 마산만매립 면허권 취소로 창원시 마산회원구 봉암동 앞 공유수면 5만 3958㎡(1만 6300여 평) 규모의 바다는 그대로 남게 됐다. 하지만 더 넓은 규모의 매립계획이 남았다.

우선은 마산만 해양신도시 조성 사업이다. 서항지구 63만㎡(약 19만 평)가 매립된다. 이와 함께 마산구항 방재언덕 공사로 마산구항 횟집 앞바다 5만 8000㎡(1만 7545평)가 메워진다. 이는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돼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하 해양청)이 추진한다.

창원시에 따르면 현재 마산해양신도시 조성 사업의 공정률은 약 12%다. 지난 7월 시작된 호안축조공사는 돝섬 쪽부터 이어지고 있다. 마산해양신도시 조성 공사는 가포신항 개장과 연결돼 3차에 걸쳐 구역별로 진행된다. 호안축조공사는 오는 2014년 3월에 마무리된다.

이와 함께 방재언덕 공사로 메워지는 마산구항 매립계획에 대해 해양청 입장은 여전하다. 매립지에는 공원 등을 조성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 착공한다.

하지만, 지역 환경단체들은 "마산만 매립을 통한 발전 전망은 망상"이라고 지적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공동대표 차윤재·이찬원·임영대)는 6일 해양청 앞 기자회견에서 "메워질 뻔했던 봉암동 앞바다에는 1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성동산업 매립 면허권 취소는 마산만매립 불가정책이 정착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차윤재 공동대표는 성명을 발표하고 "처음부터 잘못된 기업의 사업추진으로 만 4년에 걸쳐 행정과 시민사회가 떠안은 사회적 비용부담은 컸다. 기업이 시민들의 공공자산인 환경을 사리사욕을 채우는 수단으로 파괴해서는 안 된다. 이번 성동산업의 매립 면허권 취소를 통해 마산만이라는 지역의 환경자산을 지키는 것이 지역사회의 절대가치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창원물생명시민연대는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은 방재언덕 설치사업을 백지화하고, 창원시는 해양신도시건설사업을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임희자 사무국장은 "내년 국토해양부 예산안에 마산만 플랩게이트(해일 차단문) 설치 타당성조사 용역비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방재언덕과 중복되는 것으로 예산낭비다. 이에 방재언덕 관련 예산 전면 삭감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마산해양신도시 시정정책토론회 개최를 촉구해 사업 내용이 기존 계획과 달라진 점에 대한 변경 내용을 주민들에게 알리고, 해양개발사업소의 형식적인 간담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