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시·군의원이 누구인지 알고 계시나요?"

창원시의회에 출입한 지 2주가 지났다. 그나마 의원들과 접촉(?)이 잦은 시의회 출입기자다. 하지만, 시의원 55명 이름과 얼굴을 아직 익히지 못했다.

동네 주민이라면 어떨까 고민해 보지만, 주민 대다수가 자기 동네 시·군의원을 알고 있다고 속단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2010년 6·2 지방선거 투표율이 54.5%였던 것을 고려해 주민 10명 가운데 5~6명이 알고 있다면 의정 활동을 제대로 한 의원이라고 할 수 있을까.

며칠 동안 창원시의원들을 만나면서 스친 단상을 꺼내 다소 거칠더라도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지방의원의 자세'다. 주민 앞에서는 누구보다 겸손한 모습을 보이는 의원들도 의석에 앉는 순간 표정부터 달라지는 듯했다. 당과 지역을 떠나 의석은 권위 그 자체였고, 그것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 또한 드러냈다.

마산만의 미래를 바꿀 '마산해양신도시' 건설 사업 동의안 통과를 앞두고 시의원들은 정말 진지했는지 묻고 싶다. 찬반 토론 과정을 주의 깊게 듣지 않고 귓속말을 주고받거나 키득키득 웃던 모습은 비록 회의록에 남지 않겠지만, 본회의장에 있던 이들의 눈에 담겼다.

마산해양신도시 동의안이 가결되고, 사업 재검토를 촉구하는 환경운동가들이 있던 방청석에서 "반드시 기억하겠습니다"라는 격한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때도 일부 시의원들의 반응은 가관이었다. "아이고~ 쯧쯧……" 빈정거림으로밖에 들리지 않았다.

의정비를 반납하자는 한 의원의 제안에 창원시의회는 묵묵부답이었다. 그 제안은 정당공천제 폐해에 대한 뼈아픈 지적이자 선거 기간 지역과 밀착한 의정 활동을 제대로 못한 반성의 뜻이었다.

   
 

지난 1991년 지방자치제도 시행 초기 지방의원이 무보수 명예직이었던 사실을 의원들은 알 것이다. '지방의원의 책임과 전문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2006년 유급제로 바뀌었다. 유급화 당시 풀뿌리 민주주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있었던 것도 의원들은 알고 있을 것이다. 주민들이 의정 활동을 눈여겨봐야 하는 까닭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