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개발공사가 경남도로부터 위탁받아 발주한 소위 '짝퉁 거북선' 문제에 대해 지난 9일 '대도민 사과문'을 발표했다. 이것으로 경남도가 발을 빼려고 했다면 격언대로 오히려 일을 크게 만든 것이다. 도의 행정이 시스템과 원칙이 없이 자연의 생존법칙이 난무하는 곳이라면 도롱뇽이 꼬리를 잘라 위기에서 벗어나듯 경남개발공사에 모든 잘못을 돌리면 그만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남도는 엄연히 이번 짝퉁 거북선의 시발점이요 종착점이다. 또한, 경남개발공사의 지위 또한 지휘 감독할 책임이 경남도에 있다. 경남도는 짝퉁 거북선에 대한 후속 수사가 이어지고 공무원의 유착관계가 드러나면 그때서야 전면에 나서겠다는 것인가.
지금까지 짝퉁 거북선 사건의 전말을 보면 애초에 금강송으로 거북선을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경남도와 개발공사는 이를 알고도 묵인 내지 방조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범죄행위이다. 특히 알면서도 금강송 거북선복원을 광고한 경남도는 도민을 우롱한 것까지 포함하여 가중처벌을 받아야 마땅하다. 이번 일로 도민이 입은 상처를 치유하려면 경남도의 철저한 책임의식과 그에 따른 조사결과 발표가 절실하다. 당시 도지사를 비롯한 정치적 책임 당사자에 대한 검찰 고발과 같은 특단의 조처도 필요하다고 본다. 지금 경남도는 김해 농산물유통단지, 거가대교, 김해 경전철 사업 등 거대 프로젝트마다 시원하게 끝난 게 없다. 경남도와 개발공사가 국민의 세금을 먼저 본 놈이 장땡이라고 하던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모 인사와 같은 인식을 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스스로 엄중해야 도민을 설득할 수 있다. 경남도는 지금까지 불거진 모든 사안에 대해 철저하게 파헤쳐서 도민에게 보고하길 바란다. 그런 다음 일벌백계로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경남도정이 바로 설 수 있다. 지금까지와 같은 식이면 도민들은 도저히 도정을 신뢰할 수가 없다. 우선 이순신프로젝트에 대한 진단보고를 도민에게 하고 투입된 1700억 원 이상 되는 자금의 쓰임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해부하기를 바란다. 도민이 납득하지 못한다면 김두관 도정은 아무리 잘하려고 해도 내일이 없다. 경남도는 성웅 이순신을 욕보임으로써 민족 전체에 누를 끼친 사실 한가지만으로도 도민의 자존심을 짓밟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길 바란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