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가 그동안 도민의 우려함을 비웃듯이 추경예산안과 관련하여 파행의 길로 접어 들었다. 이번 추경예산안 관련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의 행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불과 얼마 전에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소외계층을 배려하고 서민 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선언하였다. 그런데 중앙당이 이렇게 나아가려는데 경남도당은 소외계층에 대한 예산 배정마저 가로막고 있다.
지금 한나라당 경남도의원들이 하는 행태는 서민을 위한 정치를 바라는 도민 정서와는 반대이며 그래서 정치적으로도 모양새가 좋지 않다. 경남도가 시·군의 미래 발전을 담보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견인코자 상정한 모자이크 사업과 대체 식수 개발을 위한 조사용역비를 삭감한 명분이 무엇인지 분명치도 않다. 굳이 모자이크사업이라는 이름아래 시군 사업을 지원할 이유가 있느냐는 모 의원의 지적은 바꾸어 말하면 김두관 도지사 치하의 경남도정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같은 한나라당 소속으로서 당론과는 반대로 소신을 보인 윤용근 의원의 말대로 도의원은 한나라당이 뽑아준 것이 아니다. 소속 지역 구민이 뽑아준 것이다. 따라서 의원의 도의회에서의 행위 또한 지역주민의 뜻과 이익이 우선이다. 그것이 의원의 본분에 맞다고 본다. 그런데 지금껏 도의회가 운영되어온 것을 보면 전혀 그렇지가 않다. 의원 개개인의 국가와 지역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노력과 의지를 근본부터 의심하는 건 아니지만 지금까지의 행태를 보면 개탄과 우려를 금치 못할 일들이 많았다.
한나라당 도의회가 이런 식으로 도의회를 이끌어 간다면 그 최종적 피해자는 결국 경남 도민이다. 한나라당 소속이었던 전직 도지사 시절 추진 사업인 거가대교 건설 관련 문제점과 이순신 프로젝트 파행, 김해 농수산물유통센터 부실 등으로 한나라당에 대한 여론도 좋지 않다. 집행 당사자인 경남도의 책임도 있지만 이를 심의하고 조절할 기능을 제대로 못한 도의회에도 명백한 책임이 있는 것이다.
도의회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제라도 지나친 견제와 반대보다 김두관 도지사가 이끄는 경남도의 행정에 도민 우선이라는 진정성을 갖고 접근하길 주문한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탈이 나기 마련이다. 정치란 타협을 통해 나아갈 때 아름답다는 걸 도의 선량들이 모른다면 도민 전체의 수치만 커질 뿐이란 걸 명심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