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애용자가 제법 많다. 잘 모르지만 일정한 구매자가 모이면 상품을 반값에 살 수 있다는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보다 '같은 다홍치마면 반값'이 훨씬 혹하는 때인 것만은 분명한 듯하다.

그런데 4·27 재·보궐 선거 취재를 하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선거판이야말로 '반값' 개념이 가장 먼저 정착된 시장(?) 아닌가. 아니, 이제는 반값을 넘어 반의 반의 반값이 '정가'가 된 분위기다.

먼저 거제 제1선거구(장평·고현·상문·수양동)를 보자. 한나라당 박행용 후보, 민주노동당 이길종 후보, 무소속 김창성·이태재·황양득 후보 등 5명이 선거에 나섰다. 이 가운데 투표율에 가장 민감한 후보는 이길종 후보다.

이 후보는 "투표율 25%만 넘으면 승리를 낙관한다"고 말했다. 지지율 25%가 아니라 투표율 25%이다. 그러니까 '반의 반' 투표율에 '과반'을 얻으면 된다는 것이다. 이 후보 계산대로 결과가 나온다면 말 그대로 반의 반의 반값 당선자가 되겠다. 우습기 전에 안타까운 점은 이 후보를 뺀 나머지 후보는 투표율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는 것이다. 품에 아우를 수 있는 유권자가 위력을 발휘하려면 투표율은 낮을수록 좋겠다.

김해 을 지역을 보자. 역시 투표율에 예민한 쪽은 야권 단일 후보인 국민참여당 이봉수 후보다. 천호선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은 결과를 낙관할 수 있는 투표율을 35%로 내다봤다. 그리고 국민참여당은 그 투표율을 만들기 위한 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그 와중에 선거 독려에 수시로 '부정 잣대'를 들이대는 선거관리위원회, '우리는 투표 같은 거 없다'며 떠벌리는 지역의 간 큰 유력 기업인 등은 눈엣가시다.

   
 
지금 분위기라면 당선자가 누구든 전체 유권자의 20%도 못 미치는 지지율을 얻을 게 분명하다. 반의 반도 못 미치는 지지율을 얻은 당선자가 지역 전체를 대표하는 지겨운 재·보궐 선거구도. 오는 27일 이후 선거 결과가 어떻든 낮은 투표율은 언제나처럼 유권자의 패배로 남을 것이다. 조금 거창하게 얘기하자면 '민주주의 패배'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