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을 보궐선거에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이름을 올린 김태호 전 지사가 시민사회단체로부터 부적격자 딱지를 받기에 이르렀다. 그 이유는 별로 복잡하지 않다. 총리 후보 청문회 때 부적격성이 드러난 지 6개월 만에 다시 공당의 예비후로를 자청한 점과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낙동강운하 전도사로서 국론분열에 무관치 않다는 두 가지 핵심 쟁점이 부각됐다.

시민사회단체의 후보자 부적격론은 그리 낯선 것은 아니지만 시민 인사청문회 말이 나올 정도로 최고 수위의 반발을 촉발한 예는 흔치 않은 일이다.

김태호 전 지사는 여당의 유력한 예비후보다. 얼마 전에는 주소를 선거구인 장유로 옮겨 이번 보궐선거에 대한 포기할 수 없는 야망을 확인시켜 주었다. 여권 내 공천 기류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그는 국무총리 청문회 때 심어준 부정적 이미지 이상으로 이미 유명세를 치른 정치인이다. 여당 대선 후보 반열에 올라 이름을 알렸고 시민단체가 지적했듯 운하 포기는 직무유기라는 가당찮은 신조어를 만들어가며 이명박 정부와의 친화력을 과시했던 장본인이다.

그러므로 그가 특정 지구 출마를 원하면 추측건대 공천 경합에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설 확률이 높다. 진보성향의 김해지역 시민사회단체는 공개적으로 요구를 하지 않았으나 김태호 예비후보의 한나라당 공천을 배제시키는데 목표를 둔 것이 확실하다. 시민의 이름으로 공당의 국회의원이 될 자격을 검증함으로써 한나라당이 공천을 하지 못하도록 압박하겠다는 의도일 것이다.

만일 김태호 예비후보가 가장 유망한 후보며 다른 후보를 내도 당선이 불확실하다는 계산이 서면 한나라당은 시민사회단체가 아무리 으름장을 놓아도 노선을 변경치 않으리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김태호 캠프가 중앙 여권과의 교감을 가능케 하는 징후들이 감지되고 있는 것도 그러한 추측을 키우며 특히 김해을은 정치적 이유 때문에 그 무엇보다 당선이 절실한 선거구다. 따라서 시민단체는 공천의 정치성을 막을 기대는 버리는 편이 나을 것이다. 불확실하긴 하지만 예상되는 결과를 상정한 후 일관된 전략에 따라 진력하는 게 그나마 선명성을 뚜렷하게 하는 길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