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합리화'가 든 말이라도 경영합리화에선 능률이나 효율이 떠오르지만, 자과(自過) 합리화에선 혐오감과 함께 메스꺼움 같은 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15일 자 경향신문 사설 <가당찮은 김태호 전 지사의 보선 출마>와 16일 자 한국일보 '메아리' 칼럼 <김태호와 박태환>을 읽은 이라면 '한마디로 낯이 두꺼운 김 전 지사'(경향) 그리고 '허황된 비유'로 '왜 박태환을 사랑하는 많은 팬들이 불쾌하게 여기는지 김씨는 알아야 한다'(한국)는 대표적 두 대목만으로도 어이가 없고도 남았지 싶습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15세 수영 선수 박태환 긴장'에다 '국무총리 후보 인사청문회 48세 긴장'을 억지로 접목시키려 한 '견강부회 김태호'의 '4·27 김해 을 과욕'을 김해 시민들이 모를 리 없을 것입니다. "사퇴의 변(辯) 잉크도 안 말랐다"던 민주당의 공격, 그 자숙 경고야말로 만만찮은 부담일 것입니다.

"그 동안 꾸중 많이 듣고

반성 많이 했다" 하지만

의심나는 '반성 없는 반성'

모르는 이 몇이나 될까

   
 
'한나라'

그 당 '지붕'에서

어리석은 '비' 새진 않겠지.

/전의홍(칼럼니스트)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