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강진과 지진해일로 말미암아 큰 피해를 본 가운데 국내에서도 지진과 지진해일의 가능성과 대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찍부터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전 국민적으로 지진대피훈련을 해온 일본에서도 엄청난 피해를 보고 있음을 볼 때 우리 자신을 돌아보지 않을 수 없다.

익히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는 판 경계에서 약간 떨어진 유라시아판 내부에 있어서 일본보다는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낮은 것이 사실이지만 최근 지진발생 횟수를 보면 우리나라도 증가추세여서 결코 안전지대라 할 수 없다. 연평균 지진발생횟수가 1978~1996년에는 16회, 1997~2010년에는 41회인 점을 고려할 때 결코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 하겠다.

그럼에도, 그동안 큰 피해가 있을 만큼 규모가 강한 지진이 없다 보니 지진대비체제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대부분 건축물이 지진에 무방비 상태이며 국민행동요령에 따른 지진대피훈련도 형식에 그치고 있다.

만약 우리나라 도심에 규모 6을 넘는 지진이 발생한다면 지금 일본의 강진 피해보다 더 큰 피해와 혼란을 겪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진에 대비하려면 건축물의 내진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난 1988년부터 3층 이상의 규모 또는 1000평방미터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는 내진 설계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얼마나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실제 소방방재청 조사에 의하면 전국 공공 민간 시설물 가운데 내진 설계가 적용된 건물은 18%에 불과하다고 한다.

도내의 경우 전체 건축물의 2.8%만이 내진설계를 했으며, 3층 이상 건물은 32.1%가 내진설계가 이루어졌다. 다리와 터널에서는 17.8%만이 내진설계가 돼 있고, 학교 건물은 16.2%만이 내진설계가 돼 있다 하니 유사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

일본 지진으로 말미암아 국민의 불안감이 더 커지지 않도록 정부는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시공과 감리를 철저히 하면서 지진대피훈련을 체계화하는 등 보다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