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마산해양신도시 실무자 협의' 비판
"당초 추진하던 용도 변경 목표로 협상 나서야"
"창원시가 겉으로는 용도변경을 외치면서 속으로는 매립축소로 꼬리를 내린 것 아니냐?"
최근 창원시가 마산 해양신도시 매립 축소 쪽으로 가닥을 잡은 데 대해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등 시민단체가 거세게 비판했다.
"조정위원회까지 만들고, 국회의원까지 나서가면서 경제성 없는 가포신항 용도변경이 최선의 안이라며 정부에 건의할 때를 잊었느냐"는 것이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임영대 공동대표, 민생민주마산회의 차윤재 공동대표 등은 17일 오전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창원시가 당초 입장대로 신항 용도변경을 목표로 국토해양부와 협상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을 진행한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이보경 간사는 특히 "이전 협의과정에서 국토해양부 관계자가 매립 면적 축소는 어렵다고 말한 점을 창원시는 분명히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매립 축소로 가닥을 잡아 협상을 할 경우, 본래 해양신도시 계획대로 134만㎡를 전면 매립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협의 과정에서 국토해양부 관계자가 "마산만 항로 수심을 13m 깊이로 준설한다는 계획은 변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한 점에서 비롯됐다.
이들은 또, 이전 가포신항 개발협약대로 갈 경우 창원시가 개발 민간사업자인 (주)아이포트에 대해 협약 상 지불하기로 돼 있는 손실부담금도 떠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18일 오후 마산합포구 경남대 앞 월영광장에서 '마산만 추가 매립 반대'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시민여론 조성작업을 다시 벌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번 일은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 김현만 신임 소장이 지난 10일 국토해양부 관계자와의 실무 협의 계획을 <경남도민일보>에 전하면서 발단이 됐다.
김 소장은 이날 시민단체의 주장에 대해서는 "관계 없다"는 말을 했을 뿐, 입장을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국토해양부와 창원시, (주)아이포트 등 9개 기관 관계자가 참여하는 TF팀 5차 회의가 21일 오후 3시로 잡혔다는 계획도 전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