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마산·진해 지역 아우른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추진
통합 창원시가 창원·마산·진해지역별 따로, 무분별하게 추진되는 재개발·재건축을 도시재생 관점에서 새롭게 조정한다.
창원시는 2020년을 목표로 한 통합시 재개발·재건축 사업 새판을 짜는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만든다고 밝혔다. 시는 기존에 추진했던 옛 창원시 기본계획 용역을 중단하고 마산·진해지역까지 묶어 용역을 새로 추진해 내년 말까지 기본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창원·마산·진해 지역에서 추진 중인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무려 87곳(창원 34, 마산 43, 진해 14곳)에 달한다. 이중 추진위원회나 조합이 만들어진 곳은 48곳(창원 11, 마산 32, 진해 5곳)인데 분양시장 침체 등으로 사업시행 인가를 받거나 착공·분양 단계는 8곳에 불과할 정도로 사업 진행이 더디다.
무분별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진행되는 문제 때문에 새로운 통합시 밑그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 경남도 도시계획위원회도 지난 6월 진해시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부결하기도 했다.
창원시도 이번 기본계획의 기본 방향을 '도시 재개발이 아닌 도시 재생'으로 정해 3개 지역에서 진행 중인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짜임새 있게 진행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기본계획 방향은 △통합도시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상호 보완과 연담 기능 △개발과 성장 위주로 계획된 기존 주거정비 재정비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등이다.
이현규 균형발전실장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내용에 대해 "기존 시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지양하고 문화·사회적 도시 재생을 고려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담을 것"이라며 "마산권과 진해권은 재검토 후 균형 발전을 고려한 기본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도시 기반 시설과 현지 여건을 고려한 주거 밀도 계획을 세우고 개발 수요 대비 과도하게 구역 지정된 곳은 사업계획 재조정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도시재생 시범단지 조성 방안도 짜고, 무분별한 사업구역은 조정해 단계별 사업 추진, 지역별 경관·색채·디자인 등 지침도 제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