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소비자단체협의회 제안

경남소비자단체협의회가 창원시 시내버스 신규업체 선정에서 경영투명성을 확보하고 비리 전력이 있는 업체를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경남업체에 우선권을 줄 것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창원시는 운행중단으로 면허 취소된 시민버스를 대체할 업체를 27일까지 모집해 12월부터 운행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신규면허 대수는 51대이다.

이에 대해 소비자단체협의회는 16일 신규업체 선정에 대해 △창원·경남업체에 가산점 △비리 전력 업체 배제 △적자로 운영할 수 없다고 한 업체 배제 △경영 투명성 확보 방안 마련 등 4가지 조건을 제안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차윤재(마산YMCA 사무총장) 운영위원장은 도내 업체에 가산점을 주는 데 대해 "서울이나 부산 등 다른 지역 업체면 지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을 가능성과 서비스 개선에도 소홀할 가능성이 크다"라며, "효과적인 행정지도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역민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지역 업체가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보조금 부당 지급, 허가 없이 불법으로 요금을 높게 받는 등 비리 경력으로 처벌이나 행정처분을 받은 업체는 배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업체선정 과정에서 경영 투명성 확보 문제를 강조했다.

차 운영위원장은 "회사 규모와 상관없이 외부감사를 받도록 하는 등 신규 면허 과정에서 투명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약속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 제안에 대해 창원시는 대부분 반영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도내 업체 가산점 문제는 무리가 있다. 창원에 차고지를 두고 법인 등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도내 업체로 봐야 한다"라며 "비리 전력 업체와 적자 때문에 운영할 수 없다고 한 업체를 배제하고, 경영 투명성 확보는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시 신규업체 모집공고를 보면 분야별 평가 배점은 △재무건전성 등 사업수행능력(40점) △인력·차고지 확보방안 등 버스운영 안정성(30점) △서비스개선능력(20점) △경영관리 적정성(10점) 등이다. 특히 차고지를 성산구나 진해구에 두면 5점 이내 가점을 줄 방침이다.

한편 옛 시민버스 노동자들이 지난 8월 초 결성한 '종업원 지주회사 설립 추진위원회'는 이날 마산회원구 일대에서 신규 사업자 면허 획득 등을 위한 서명운동을 벌였다.

이들은 시민들에게 나눠준 호소문에서 "사업주의 부실 경영으로 근로자들이 입은 피해는 46억 원에 달하며 한 푼의 금액도 보상받을 길이 없는 시점에서 어느 누구 하나 도움을 주는 곳이 없다. 400~500명의 생계가 달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업원 지주회사 설립이 가장 현명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추진위는 이날 현재 4000명의 서명을 받았다고 밝혔다.

추진위 관계자는 "앞으로 서명운동을 계속해 1만 명 이상 서명을 받는 게 목표"라면서 "우리 추진위와 시민들이 종업원 지주회사 설립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걸 창원시에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