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허정도 건축사의 '해양신도시 건설 재고해야'라는 신문 칼럼이 나가고 엄청난 반향이 일어났었다. 마산발전시민협의회에서는 토론회를 열어 허정도 건축사의 발제를 들었다. 문제의 심각성을 깨달은 마발협과 시민단체들이 신도시 건설 철회·수정 서명운동까지 벌이게 되었고, 자신들의 이익에 직격탄을 맞게 될 재개발·재건축 조합원들과 구도심 상인들은 화를 삭이기 바빴다고 한다.

그럼에도, 마산시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 와중에 행정통합 문제가 전면에 부상했고, 해양신도시 논란은 어찌 된 셈인지 아무런 성과도 없이 사그라졌다. 행정통합이 마산의 중요한 현안임은 분명하지만, 마산의 운명을 좌우하는 사안은 결코 아니다. 자발적 통합이 안 되더라도 중앙정부에 의한 강제통합이 남아 있고, 더구나 현재의 마산만으로도 충분히 잘 살아나갈 방안이 없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행정통합은 현안이되 시급한 문제는 아니다.

이보다 더 중요하고 더 시급한 것은 해양신도시 계획을 철회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해양신도시 사업이 예정대로 강행된다면 마산의 미래에 돌이킬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해양신도시에는 시청과 시의회 등 지자체 관공서들까지 이전할 예정이고, 나름의 상권도 당연히 형성될 것이다. 수변공원을 갖춘 호화 아파트 단지, 행정중심지, 고급상가가 결합하면 마산의 '행복(행정복합)도시'라 한들 무어 틀릴 게 있을까. 마산의 부유층이 생활하고 공무원들이 업무를 보는 신도시, '마산의 강남'이라고도 불릴만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마산에 '행복도시'가 생기고 '강남'이 생긴다면 그게 좋은 일이지 왜 문제가 되는가 하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바로 이미 허정도 씨가 강조한 바 있는 '풍선효과' 때문이다. 신도시가 구도시를 살리는 게 아니라 죽일 것이기 때문이다. 신도시 주민과 구도시 주민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필자가 안타까워할 수밖에 없는 것은 마산만의 면적이 대폭 축소되고 돝섬까지의 거리가 100미터 남짓으로 줄어들면 돝섬의 서쪽 바다가 거의 쓸모가 없어질 정도로 좁아져 우리가 꿈꾸는 해양레포츠공원이 물거품이 되어버린다는 사실이다. 좋다, 이것까지도 양보하고 해양신도시가 자랑하는 수변공원으로 만족한다고 치자. 그래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다행히(?) 해양신도시에 1만 세대가 모두 입주해 3만 명의 신도시가 형성된다고 하자. 이미 말한 바와 같이 구도시의 미분양 아파트 문제의 해결은 더욱 곤란해지고 아파트 건설 예정부지들도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건 마산의 진짜 문제는 아니다. 골탕을 먹는 건 외지 건설사들이기 때문이다. 심각한 것은 48곳의 재개발·재건축 조합원들이 받게 될 타격이다. 이들은 낙후된 주택 환경으로 신음하는 마산의 시민인데 이들의 새집 마련이라는 꿈이 송두리째 날아가 버린다. 외지 건설사의 이익을 위해 시민의 이익을 희생시키는 셈이다.

   
 
 
해양신도시 예상 인구 3만 명은 현재 마산 인구의 약 7.5%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마산시민 10명 중 9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직접 간접으로 피해를 주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경관의 파괴와 해양레포츠공원의 포기로 날아가 버린 잠재적 이득은 무시하더라도 말이다. 따라서 해양신도시 건설 계획 백지화만큼 시급한 현안은 없다. 예정대로라면 곧 공사가 시작된다. 빨리 중지를 모아 철회 방안을 찾아야 한다. 시간도 없고, 마산의 미래도 없다!

/서익진(경남대 경제무역학부 교수)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