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이달 초 생태하천 복원을 위한 민관협의회에서 관로를 설치해 역펌핑 작업으로 물을 끌어올려서 물을 흐르게 하는(소순환 방식) 계획을 세웠다.
이에 대해 시민연대는 "소순환은 시설 설치와 에너지가 소요되는 방식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방안이다. 자연스럽게 하천물을 확보하는 다른 방식이 행정적 절차가 복잡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소순환 방식을 행정이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비가 오면 빗물을 막아서 땅속으로 유입시켜 물을 확보하는 게 함양형 우수 저류조 방식이다. 주택지 인근에서 땅을 깊이 파서 자갈을 넣고 잔디를 깔아 빗물을 모아서 하천으로 흘려보내면 된다. 주택과 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협조 요청을 하면 훨씬 더 자연스럽게 하천 유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우귀화 기자
wookiza@idomin.com
자치행정1부에서 창원시, 창원시의회 담당하고 있습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